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255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맵’ 영상에 AI 접목하니, 빈곤국가 경제실태 한눈에
2016.08.19
영상을 1000개의 카테고리로 세분해 분류하도록 한 것으로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
금속
지붕과 초가지붕 등 빈곤 지역의 특성이 되는 요소를 구별해 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 지구를 촬영한 ‘구글 맵’ 인공위성 영상을 인공지능에 학습 데이터로 제공했다. 그 결과 밤 시간대 위성 영상만을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경우 갈증뉴런의 활동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다. 즉 구강에서 액체를 느껴야만(차가운
금속
막대의 경우 착각이지만) 갈증뉴런이 억제된다. 음료의 온도에 따른 차이도 갈증뉴런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즉 12도인 찬 물을 마실 경우 24도나 36도 물에 비해 갈증뉴런의 활동이 감소하는 폭이 컸다. ... ...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08.03
귀
금속
이 발견돼 사람을 잡아먹었다고 여긴 적도 있다. 하지만 사람이 실수로 흘린 귀
금속
을 삼켰을 가능성이 높다. - public domain 제공 필리핀 제도의 서쪽에 위치한 팔라완섬에는 작은 필리핀숲거북이 살고 있다. 이들의 등딱지 길이는 20cm 정도 되며 물과 뭍을 자주 오가는 반수생 민물거북이다. ... ...
혈관 속 약물 배달할 ‘짚신벌레 로봇’ 나왔다
2016.08.02
빠르게 움직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구진은 3차원 레이저공정기술 및 정밀
금속
코팅을 이용해 인공섬모가 붙은 마이크로 로봇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이 로봇은 혈액 속에서 초당 0.34㎜를 이동해 기존의 마이크로 로봇보다 최대 25배 빨랐다. 짚신벌레의 섬모운동을 본 따 만든 마이크로 ... ...
폭염 막아주는 반투명 태양전지 나왔다
2016.08.01
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얇은 박막을 제작한 뒤 이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투명한
금속
전극을 제작했다. KAIST 제공 이 태양전지의 에너지효율은 13.3%. 일반적인 고효율 태양전지와 비슷했다. 100의 태양 빛을 받았을 때 13.3만큼의 에너지를 생산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가시광선 투과율은 차량 ... ...
[진실 혹은 거짓]머리카락 빠질 때... 검은콩 먹으면 효과 있을까?
2016.07.28
중
금속
이나 미세먼지 등으로 공기가 좋지 않은 요즘은 특히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중
금속
과 미세먼지는 두피의 모공을 막아 두피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고 지속되면 탈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은 샴푸 전 여러 번 빗질해서 모발 안쪽에 남아있는 먼지와 ... ...
지구온난화 원인물질로 청정에너지 만든다
2016.07.26
다시 굳혀 얇은 육각형 막 형태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아연 촉매는 효율이 기존 귀
금속
촉매와 비슷했지만 가격은 2만 분의 1정도로 낮았다. 우 교수는 “새로 개발한 촉매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면 공해물질 없이도 이산화탄소를 탄화수소로 바꿀 수 있다”면서 “탄화수소를 연소시키면 ... ...
소금, 천연 좋아할 것 없고, 합성 싫어할 것 없다
과학동아
l
2016.07.24
들어 있다는 점, 이런 미네랄이 나트륨을 배출시켜서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점, 중
금속
과 같은 독성물질을 중화하고 몸 밖으로 내보낸다는 점 등이었습니다. 정말 그럴까요? 이런 말을 들었을 때는 곧이곧대로 믿지 말고 항상 따져보는 습관을 길러 봅시다. 일단 소금이 염화나트륨(NaCl ... ...
지중해를 떠다니는 아름다운 범선
2016.07.24
평가받는 배의 모습이다. 이름은 스타 클리퍼. 5개의 돛대를 갖추고 있으며 동체는
금속
으로 만들어졌다. 소유주는 스웨덴의 범선 크루즈 전문회사 ‘스타 클리퍼스’이다. 이 범선은 여름에는 지중해, 겨울에는 캐리비안 해에서 여행객들을 태우고 떠다닌다. 길이 135m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형 ... ...
3D 프린터로 인공 지문 만들어 내 스마트폰 열어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2
센서에 갖다 대도 인식을 못 합니다. 그래서 제인 교수 연구팀은 인공 지문 위에 얇은
금속
입자 막을 입혀 센서가 지문 모양을 인식할 수 있게 했다고 합니다. 실험적인 기술이고, 제작한 인공 지문을 아직 경찰에 넘기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몇주 동안 충분히 테스트하면 믿을만한 인공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