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거대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영화 속 로봇이 현실로!그동안 거대로봇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했어요. 아주 오래 전 엄마, 아빠가 봤던 만화영화의 ‘로봇 태권브이’와 ‘마징가Z’가 대표적이지요. 최근에는 영화 ‘퍼시픽림’에서 ‘예거’라는 로봇이 등장했고, 아바타에서도 주인공이 거대로봇을 직접 조종하지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FX-1은 탑승형 로봇이지만 팔이 없어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조종석은 가슴이나 복부에!사람을 닮은 휴머노이드 디자인은 로봇이 사람과 비슷하게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에요. 팔을 이용해 도구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집는 등의 행위를 ... ...
- 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위잉~, 쿵! 위잉~, 쿵”드디어 첫 출동이다! 우리는 어린이가 위험에 처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는 거대로봇 듀오야! 좀 전에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았어. 어린이가 무너진 건축물 사이에 갇혔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거대로봇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거 아니냐고? 천만의 말씀! 벌써 ... ...
- Part 2.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 발로 중심을 잡아라!키는 4m, 무게는 1.6t이나 되는 거대로봇이 어떻게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을까요? 메소드-2 프로젝트에는 참여했던 서울과학기술대 김정엽 교수님을 비롯한 많은 로봇과학자들은 로봇이 두 발로 걷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발로도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하고 ... ...
-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터라 미국 생활이 익숙하지만, 그래도 한국 학생들과 학교가 그립다고 했다.이 교수가 미국에서 하고 있는 연구는 한국에서 하던 화학공정 연구의 연장선이다. ‘화알못(화학을 알지 못하는 사람)’인 기자가 “화학공정 연구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학생들은 내년을 기약했다. 2차 예선 현장에서 만난 정광현 학생(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1)은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는 과학 분야에서 손꼽히는 큰 대회”라며 “될 때까지 재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젊은 과학도들이 이렇게 패기와 자신감을 가지는 것 자체가 노벨상을 타는 것보다 더 값진 일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칵세타-헥크비스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해결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무궁무진합니다.쏜: 퍼센트를 백분율★이라고도 부르지요? 요즘은 백분율을 초등학교 6학년 때 배운다는데, 수학을 잘 못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줬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수포자였습니다.백분율(%)★ 전체 수량을 100으로 했을 때 그것에 대해 갖는 비율. 영어로 ‘퍼센트’라고 ... ...
- [수학공감] 수학을 나눠 마음을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대한 고민 상담에도 효과적이다. 이미 중학교를 거친 고등학생이 멘토이기 때문에, 많은 학교에서 하고 있는 ‘또래 멘토링’과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하 교사는 “광릉중을 졸업한 학생 중에 진접고로 진학한 학생들이 멘토로서 멘토링을 하고 싶다고 말할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 학위 과정을 마쳤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