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컴퓨터
로 만드는 난수는 씨앗에 좌우된다. 게다가
컴퓨터
로 난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의 종류는 두 세 개로 한정돼 있다. 난수를 만드는 방법이 같으니 만약 같 ... 불확실한 난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초창기 디지털
컴퓨터
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
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이보다 4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한번 촬영이 끝나고 스캐너실을 나서자 국과수 직원이
컴퓨터
를 만지작거리고 있다.헉.
컴퓨터
화면에는 방금 찍은 게 3D 사진으로 구현되고 있다. 마우스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니 내 왼쪽 얼굴이, 또 아래로 움직이니 정수리가 보인다. 국과수 직원은 CCTV 속 사람과 내 3D 사진을 번갈아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없는 것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참고자료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더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통계학적 기법을 써요. 생물의 특징을 숫자로 나타내
컴퓨터
에 입력하고, 그 결과로 유연관계가 얼마나 가까운지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답니다.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가난이나 질병 때문에 유아의 사망률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자식을 많이 낳아 농사를 지을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살다가 이렇게 된 것이 많지 않았다. 어떤 것은 행성표면을 뒤덮고 있는 끝없이 이어진
컴퓨터
반도체 회로의 모양이 계속해서 커져 나가다가 광속 한계에 도달하는 모습이 되기도 했고, 스스로 계속 자라나는 곰팡이나 세균 덩어리 같은 모양이 점점 더 커져나가다가 점차 발전해 나가면서 광속 ... ...
[소프트웨어] 정다각형 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오개념 탈출, 정다각형정다각형과 관련해서 헷갈리는 내용을 문제로 출제했습니다. 2번과 5번만 틀렸고 나머지는 맞습니다. 흔히 정다각형을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도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마름모는 안쪽 각의 크기가 모두 같지 않아 정다각형이 아닙니다. 정다 ... ...
[News & Issue] 찾았다! 양자
컴퓨터
만들 위상절연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다른 위상절연체 후보 물질에 비해 분자 구조가 규칙적이어서 결함이 적다”며 “양자
컴퓨터
, 스핀트로닉스와 같은 새로운 분야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5년 12월 14일자에 실렸다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친구는 합격하고 저는 떨어졌죠. 억울해서 나도
컴퓨터
를 한번 잘해봐야 겠다는 생각에
컴퓨터
회사에 취직하게 됐습니다.”_강승우 한국 오라클 상무(소프트웨어 구조) “양자역학 같은 과목을 배울 때 눈에 보이지 않는 걸 현실과 비교 없이 받아들이는 게 어려웠습니다. 너무 추상적으로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곳에서 같은 벤 다이어그램을 독립적으로 찾아낸 수학자가 있었다.캐나다 빅토리아대
컴퓨터
과학과 프랭크 러스키 교수다. 프랭크 러스키 교수는 집합의 수가 많아져도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었다. 그 결과 집합의 수가 소수일 경우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