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컴퓨터
로 만드는 난수는 씨앗에 좌우된다. 게다가
컴퓨터
로 난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의 종류는 두 세 개로 한정돼 있다. 난수를 만드는 방법이 같으니 만약 같 ... 불확실한 난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초창기 디지털
컴퓨터
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
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이보다 4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지식] 엄상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키울 수 있었습니다.진로를 결정할 때쯤
컴퓨터
와 수학 사이에서 고민했어요. 그런데
컴퓨터
는 내가 즐겁게 잘 하는 일이었기 때문에 취미로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하지만 수학은 저에게 선망의 대상이었어요. 수학이 도대체 어떤 학문인지 자세히 공부하고, 또 새로운 수학을 연구하고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테스트 하려고 몰래 주입했던 모의 훈련이었다. 실제 중력파원의 물리량을 토대로
컴퓨터
가 임의의 시간에 라이고 검출기에 신호를 보내서 진짜처럼 보이도록 거울에 살짝 진동을 주는 프로그램(하드웨어 주입)이다. 몇 사람을 빼곤 연구단이 단체로 ‘낚인’ 셈이다.연구자들은 허탈한 표정을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새로운 슈퍼
컴퓨터
를 세상에 내놓는다. 현재도 IBM, 인텔 등과 함께 타이탄의 후속 슈퍼
컴퓨터
인 ‘서밋(Summit)’을 개발하고 있다. 서밋의 목표는 150∼300페타플롭이다. 2018년 최종 개발을 목표로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ORNL 연구원과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기업 연구원들이 매달 직접 만나 긴밀하게 ... ...
[수학뉴스] 세기의 대결! 인공지능 vs 바둑 최강자 이세돌 9단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평가한 것을 근거로 이세돌 9단이 이길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고, 실수를 하지 않는
컴퓨터
가 이길 것이라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알파고와 승부를 앞두고 있는 이세돌 9단은 “바둑 역사에서 중요한 경기라고 생각한다”며, “승리할 자신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없는 것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참고자료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핵무기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예컨대 맨해튼 프로젝트 팀은 캐드(CAD) 같은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손으로 일일이 부품을 만들어 설계를 해야 했다. 켐프 교수는 “요즘 고등학생들이 사용하는 것보다 못한 도구로 핵폭탄을 만들어야 했다”고 말했다.그는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곳에서 같은 벤 다이어그램을 독립적으로 찾아낸 수학자가 있었다.캐나다 빅토리아대
컴퓨터
과학과 프랭크 러스키 교수다. 프랭크 러스키 교수는 집합의 수가 많아져도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었다. 그 결과 집합의 수가 소수일 경우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과학자들은 방정식을 풀 방법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저도 뉴턴의 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컴퓨터
로 쉽게 다항식 근의 근삿값을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에 몰두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다항방정식을 시각화할 방법이 떠올랐고, 그 결과로 폴리노미오그래피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