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학생들에게 아이디어를 하나씩 던져주고 갔다. 신기하게도 버틀러 교수가 아이디어를
줄
때마다 막혔던 증명이 술술 잘 풀렸다. 버틀러 교수는 심지어 주말까지 시간을 내서 학생들의 연구를 검토했다. 이번 해외연구프로그램을 담당한 박상훈 교사가 “학생들 프로그램 때문에 많은 교수를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견학을 가서 본 적이 있던 터라 놀랄 일은 아니었지만, 이런 곳에서 이런 장면을 보게 될
줄
은 상상도 못했었다.“들어가 봐.”들어가서 방 안을 보니 커다란 망원경과 용도를 알 수 없는 장비가 잔뜩 놓여 있었다.“네 엄마가 해킹해서 알아낸 정보를 우리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지. 그런데 알다시피 ... ...
[과학뉴스] 폐에서 혈액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루니 교수는 “이번 연구가 혈소판 감소증을 앓고있는 수백만 명의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3월 22일 ‘네이처’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8/nature2170 ... ...
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우리나라가 정말 장수의 나라가 맞느냐는 것이다. 이런 의구심을 하나부터 열까지 풀어
줄
특집 기사를 준비했다. 우리나라 대표 장수촌, 전북 순창군의 장수인들과 함께 장수의 비밀을 알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자연에서 오는 태양의 빛과 열을 이용할 수 있다면 조명과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크게
줄
일 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 태양빛은 동식물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도 필수 요소지요.과학자들은 수백m 아래 지하 도시로 태양빛을 보내기 위해 ‘광섬유’를 연구하고 있어요. 유리 재료로 만들어진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못 고르겠어. 친구들은 어떤 사랑의 배달부가 나를 가장 잘 도와
줄
수 있을 것 같아? 나를 위해 의견 보내 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Part 3. 별별 사랑 ...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받아 쪼갤 수 있다면 무조건 이긴다는 소리다. 초콜릿을 쪼개 1×1 초콜릿을 상대방에게
줄
수 있기 때문이다.2×2 초콜릿을 받으면 어떨까? 2×1(또는 1×2) 초콜릿을 상대방에 주게 돼 무조건 진다. 따라서 무조건 이기려면 2×n(또는 n×2, n>2) 초콜릿을 받아 상대방에게 2×2 초콜릿을 주면된다. 앞에서 3×3 ... ...
[과학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나선형 껍질을 가진 천체의 비밀이 밝혀졌다. 대만중앙연구원 천문천체물리연구소 김효선 연구원팀은 주위에 나선형 패턴이 나타나는 독특한 천체인 ... 늙은 적색거성의 주변 물질이 어떻게 행성상성운으로 변해가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50-017-006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3년 안에 세계 최고 수준을 따라잡고, 넘어서겠다”고 말했다.새인지 드론인지 밝혀
줄
인공지능이 관건멀리서 날고 있는 새를 비행체로 착각하면 어떻게 될까. 문 센터장은 “기계와 새의 비행은 분명 차이가 있는데 현재로서는 이를 구분하는 게 가장 어렵다”며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이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때 사용되지요. 한편 실을 뜻하는 ‘실 사(糸)’와 음을 나타내는 ‘선(泉)’이 합쳐진 ‘
줄
선(線)’은 가느다란실을 의미해요.이 세 글자가 더해져 ‘굽은 선이 두 개’인 쌍곡선을 나타내는 단어가 되었답니다. 공을 앞으로 던지면 곡선을 그리며 땅에 떨어져요. 이 곡선을 포물선이라고 해요.이중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