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생존 전략의 이야기를 마감하면서 그 동안 독자들에게 많이 받았던 질문을 요약, 정리한다.1. 왜 애벌레는 모든 동물들이 선호할까애벌레는 전 생애에 걸쳐 사용할 영양분을 축적해야 할 시기다. 번데기처럼 활동하지 않는 상태를 대비해 많은 단백질을 저장한다. 탈피나 휴면, 그리고 실을 내어 ...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하거나, 친구들이 모르는 내용을 알려주면 공부한 내용이 더욱 정리가 잘 될 것이다. 또 책상에 앉아서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기 보다는, 짧게 몰두해서 공부하고 중간 중간에 환기를 시켜주는 게 좋다. 가급적이면 눈으로만 외우지 말고, 말하면서 외우는 방법이 더 효율적일 ... ...
- 해석기하를 통한 창의적 연구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정리나 톨레미의 정리를 해석기하적으로 증명한 것은 매우 이색적인 내용이다. 이 정리들은 그렇게 난해하거나 복잡하지 않다. 오히려 해석기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훨씬 더 복잡하다. 그러나 해석기하의 아이디어에 영감을 받은 학생이 기존의 기하 문제에 해석기하적 방법을 적용하려 했던 ...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이용해 자기부상열차를 만드는 과정을 설계해보고 이 과정에서 고려해야 될 사항을 정리해 포트폴리오를 만든 학생이 있었다. 또 미래에 발생할 문제를 예상하고 해결 방법 위주로 내용을 작성하거나, 첨단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방법이 있다.이때 주의할 점은 영재성 ... ...
- PART 2 달인의 노하우, 전격 공개하다! : 변형 보드게임 만들기, 4단계!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있어야 한다’와 같은 것이 있겠네요. 1단계와 2단계를 통해 직접 게임의 조건과 규칙을 정리해서 적다 보면 게임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셋째, 3단계가 바로 핵심 단계입니다. 게임 규칙에 의문을 가져 보는 거예요.‘루미큐브 타일은 왜 1부터 13까지 있을까? 10까지만 있다면 어떨까 ...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다.이런 유형의 문제는 수학의 어떤 정리나 원리를 알아야 풀 수 있다. 다만 전자계산기를 사용하면 조금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문제는 전자계산기를 이용하면 더 복잡해져 시간이 오래 걸린다.④번 유형의 문제 중 첫 번째는 로그 ...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노미오와 줄리엣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본명을 갖기 100여 년 전에 그는 기하학에는 두 가지 보물이 있는데, 하나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이고 또 하나는 황금비라고 이야기하며, 첫 번째는 금, 두 번째는 보석에 비유할 수 있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이것이 바로 마르틴 옴이 황금비라는 이름을 붙일 때 참고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 ...
- I-빔 타일 깔기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체스판은 늘 도미노로 속선 없이 깔 수 있음을 보여라. 단, m, n은 0 이상의 정수이다.정리m×n 체스판 중에서 도미노로 속선 없이 깔 수 있는 경우는 2×1, (6+2m)×(5+2n)과 (6+2m)×(8+2n), 그리고 이들의 가로와 세로가 뒤바뀐 경우들이 전부이다. 단, m, n≥0이것으로 도미노로 하는 속선 없이 타일 깔기에 관한 .. ...
- 방정식 다시 보기!수학동아 l2011년 05호
- 푸는 방법이 나오고, 제9장의‘구고(句股)’에는 직각삼각형에 관한 문제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 응용문제와 2차 방정식 문제가 나오죠. 예를 들어 설명할게요.구장산술 제8장‘방정’의 제1문제"지난해 우리 논에서는 상품 1뭇(단), 중품 2뭇, 하품 3뭇에서 26말의 쌀이 나왔는데 너희 논에서는 ... ...
-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줄어든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고봉균 선생님의 풀이쉽게 파악되는 사실부터 천천히 정리해봅시다.(1) m은 줄어들지 않는다. M은 커지지 않는다.위의 명제는 쉬운 사실이므로 확인은 여러분에게 맡기겠습니다. 이제 M≠m일 때, M과 m의 차이가 언젠가는 줄어드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M이 언젠가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