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d라이브러리
"
유명
"(으)로 총 4,3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끝에 인류를 구한 사람들을 하나 둘 찾아 나섰다. 수많은 인명을 구한 과학자들이 전혀
유명
하지도 않을 뿐더러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중요한 인물 100명’이나 ‘세계의 역사를 바꾼 100명의 과학자’의 명단에 전혀 속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그는 그들의 업적을 대중에게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유명
한 돔 건물에는 르네상스 시대에 지어진 피렌체 두오모의 돔과, 푸코의 진자로
유명
한 파리 팡테옹의 돔이 있는데, 모두 판테온을 따라 지은 건축물이다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0/11분이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tip11번째 시간‘11번째 시간(The 11th Hour)’은 영화배우로
유명
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제작하고 조연으로 참여한 환경 다큐멘터리 영화다. 칸 국제영화제 2007년 특별상영작인 이 영화의 제목은 지구에 남겨진 시간을 12시간으로 봤을 때, 현재는 마지막 기회에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예술가 쿠미 야마시타의 작품이란다. 그림자를 이용해 재밌는 작품을 만든 사람으로
유명
하지. 벽에 여러 모양의 나무 입체 조각을 붙여 그림자가 사람이 되도록 한거야. 입체도형에 빛을 어떤 각도로 비추냐에 따라 그림자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바뀐단다.”“그렇군요. 저도 그림자로 멋진 작품을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그 뒤로 빛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실험물리학자들의 노력이 계속되었다. 가장
유명
한 것은 앨버트 마이컬슨의 실험이다. 마이컬슨은 빛의 속도를 처음으로 정교하게 측정해 미국인으로는 첫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문제는 마이컬슨의 정교한 광속 측정으로 새로운 문제에 부딪혔다는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남 박사는 코웃음을 쳤다. 조수는 상대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박사님, 아마
유명
해진 건 제 이름뿐일 겁니다. 미래에서 온 사람들이 노리는 것도 나지만 반대파가 살리려는 사람도 나뿐일 겁니다. 어서 이 자리를 피하세요.”남 박사는 다시 비웃었다. 그리고 조수가 전송기를 통해 밖으로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관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지요.음색과 관련한 연구가 얼마나 어려운지는 명기로
유명
한 스트라디바리의 음색을 둘러싼 과학 연구를 보면 알 수 있어요. 여러 과학자들이 이 악기의 비밀을 찾으려고 다양한 연구를 했어요. 2000년대 이후만 봐도, 2006년 미국 텍사스A&M대 생화학과 조셉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연구는 ‘문과’로 인식되던 고고학과 인류학에 ‘과학 바람’을 일으킨 것으로도
유명
하다. 바로 사진기를 들고 연천으로 달려갔다. “수업시간에 종종 듣는 질문인데….”고고학 연구에 유전학을 도입하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낸 계기를 묻는 질문에 칸 교수는 이렇게 대답을 시작했다.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때 안전하다. [체코 태생의 수학자 쿠르트 괴델. 불완전성 정리를 증명한 것으로
유명
하다.] 1949년 수학자 쿠르트 괴델은 ‘회전하는 우주’ 모형을 고안했다. 이 우주의 시공간은 물질 분포에 의해 크게 휘어 닫힌곡선을 이룬다. 빛은 순환하는 부메랑 같이 움직인다. 빛에 가까운 속도로 달려 ... ...
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작곡가인데 기존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과감하고 다채로운 관현악법을 선보인 것으로
유명
해요. 기괴한 화음과 멜로디, 그리고 활의 등으로 현을 켜는 상식을 벗어난 주법 등 상상력 넘치는 연주는 분명 청중들에게 충격으로 다가왔지요. 관현악을 이야기할 때 현악기를 빼놓을 수 없어요.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