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계로 보는 필즈상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초대해요. 매회 약 200여 명이 초청강연을 하지요. 수학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주요 수학
연구
를 소개하는 기조강연은 20명 정도 초대됩니다. 독일의 대표 수학자이자 2018 필즈상 수상자인 페터 숄체 독일 본대학교 교수는 2014년 초청강연을, 2018년에 기조강연을 했습니다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A. 무엇을
연구
하는지는 자세히 말할 수 없어요(웃음). ‘극한 기하학(Extremal Geometry)’의
연구
라는 것만 이야기할게요. 필즈상으로 삶이 많이 바뀔 거예요. 수학자들과 더 많이 이야기하게 되고, 출장도 많이 갈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서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멋지던지요. 저는 협력이 때때로 틀린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만 받아들인다면 공동
연구
는 훌륭한 결과를 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뒤미닐-코팽 교수는 어떤 증명을 할 때 집착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직감을 믿는 편이에요. 해요. 직감은 아무 곳으로도 연결되지 않을 수도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천상은 평생 동안 순수수학 분야에서 최고의 업적을 남긴 수학자에게 주는 공로상입니다. 2022 천상의 주인공인 배리 메이저 미국 하버드 ... 수학에 대한 끝없는 열정은 메이저 교수의 나이를 잊게 했습니다.앞으로도 활발히
연구
를 이어가며 많은 수학자의 멘토가 되어주시길 바랍니다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래프의 채색 문제를 다루는 허준이 교수님의
연구
부터 고차원에서의 공 쌓기 문제를 푼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님의
연구
까지! 다음 활동을 통해 2022 필즈상 수상자 네 분 ...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했어요. 우리는 3차원 공간에서 과일을 쌓아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연구
를 엿봅시다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어려운 결론을 ‘당연해지도록’ 이끌어 내는 것에 놀라곤 해요. 여러분도 위튼 교수의
연구
를 통해 수학과 물리학이 ‘자연스러운 사고의 흐름’을 찾는 학문이라는 것을 느끼면 좋겠습니다. 위튼 교수는 ‘양의 에너지 정리’를 놀랍도록 간단한 방법으로 증명했어요. 양의 에너지 정리는 ... ...
[과학뉴스] 지도교수 몰래 표절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논문 개수를 세거나 SCI급 논문 유무를 따지는 것과 같은 계량적 평가 중심의
연구
풍토를 따져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윤성로 교수팀이 작성한 또 다른 논문에 대한 표절 의혹도 제기돼 서울대 연진위 조사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 ...
[과학뉴스] 600만 년간 먹어도 맛있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00만 년 전 자이언트 판다의 조상도 대나무를 먹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월 30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자연사 박물관은 600만 년 전 ʻ가짜 엄지’의 흔적을 찾았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10.1038/s41598-022-13402-y가짜 엄지는 손목뼈가 엄지손가락처럼 튀어나온 신체 구조다. 엄지의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등 중요 고고학 발굴조사에 참여했다. 현재는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
연구
소 학예
연구
관으로 경주 동궁과 월지와 쪽샘 신라고분 발굴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안구공유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다른 기억은 건드리지 않고, 공포기억을 저장한 시냅스만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선
연구
가 더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doi: 10.1016/j.neuron.2021.07.003언젠가는 안 본 눈을 살 필요 없이 근처 병원으로 달려가면 기억을 지울 수 있는 세상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그때는 “안 본 눈 삽니다”란 말 대신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