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파산
잘못
과실
착오
실패작
d라이브러리
"
실패
"(으)로 총 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부탁해 이를 삼키게 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조명장치가 미흡해 위내부를 관찰하는데는
실패
하고 말았다. '쿠스마울'의 실험으로 위내부까지 파이프가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됐지만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장치가 새로운 과제로 등장했다.얼마후에 에디슨에 의해 전구가 개발되면서부터 ... ...
PART1 DNA의 구조와 복제 생명을 지배하는 이중나선구조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유전자가 18만2천개의 염기에 간직되어 있는 이중나선구조로서 파아지 머리부분에
실패
에 감긴 실처럼 존재한다.다음 원핵세포의 대표격인 박테리아는 3천~5천개의 유전자가 4백60만개의 염기에 간직되어 있으며, 1.4㎜에 달하는 큰고리 모양의 DNA가 수없이 감기고 꼬여서 초나 선구조를 이룬다.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8m정도의 파도가 노틸호를 후려쳤지요. 정말 지옥 같았읍니다.”─ 첫번째 탐사는
실패
했나요?“기상조건이 안좋았어요. 한번 해보려고는 했죠. 그래서 끝까지 버티기는 했지만 전복될 위험도 있었고 게다가 태풍이 며칠동안 계속될 상황이었기 때문에 포기했읍니다. 수면위로 떠올랐을 때 ... ...
소련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쉽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과 강하 각이 작아진다는 정도의 이점이 있을 뿐이다. 착륙에
실패
하여도 상승하여 다시 시도할 수 있는지 어떤지도 의문스럽다.소련판 스페이스 셔틀은 이 오비터와 커다란 추진제 탱크, 외부 연결 부스터로 이루어지며 이것도 미국 것과 같은 구성이다. 그러나 부스터는 ... ...
스타워즈와 기술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설명했다. 독일은 지나친 완벽주의를 채택해 오히려 개발에
실패
했고 미국은 부분적인
실패
가능성을 고려해 가면서 유연하게 계획을 추진했기 때문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세번째의 조건으로 '애브럼슨'장군은 S.D.I.의 추진과정에서 얻어진 새로운 기술중 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는것만 '톱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것을 깨닫고 제어봉을 로속에 다시 삽입하여 연쇄반응을 멈추려고 시도 했으나
실패
하고 말았다. 다시 몇초가 지난 상오 1시 24분 두번에 거쳐 천지를 뒤흔드는 대폭발로 이 발전소는 박살이 났다. 핸들에 손떼고 운전 하는식 첫번째의 폭발은 엄청난 수준의 증기와 압력이 로심속의 튜브를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이 '틀린 신호'란 도대체 무엇인가? 가령 운동연습을 하다보면 처음에는 대개
실패
한다. 따라서 틀렸을 때 그 신호가 소뇌로 보내지면 시냅스의 스위치가 끊어진다. 소뇌의 시냅스는 처음에는 엉성하게 연결되어 있다가, 틀린 배선을 계속해서 끊어내므로 옳은 배선만이 남는다. 연습을 거듭하여 ... ...
우주왕복선 제작 미국은 주춤, 유럽 소련 일본은 적극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있다. 지난 6월 플라스틱 모델을 만들어 바람이 심한 터널에서 실험을 했는데 첫번째는
실패
, 두번째는 성공을 했다. 일본것도 소형으로 유럽의 셔틀과 비슷한 모양을 갖출것으로 알려졌다 ... ...
아인슈타인은 어떤 사람이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했지만 이 태도는 근본적으로 내 일생을 통해 지속되었다" 외견상으로 나타난 여러가지
실패
는 모두 이러한 내면적 투쟁의 부산물로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는 이런 값비싼 대가를 치루고서도 내적인 자신을 보호하고 성장시키는 투쟁에서만은 한치의 양보도 없이 이겨나가고 있었던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5호) 등 58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1982년에는 암수 20마리의 꿩을 방사하기도 했으나 번식에
실패
하고 말았다.동물과 달리 식물은 비교적 다양해 6백여종이 자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섬잣나무 솔송나무 너도밤나무는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며, 모두 39종의 특산식물과 6종의 식물이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