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센서의 두께는 2㎛에 불과해 대부분의 사물 표면에 붙일 수 있다. 특히 이 자기장 센서를 손바닥에 붙이고 다니면 몸 자체가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가 되기 때문에, 걷고 있는 방향이 북쪽인지 남쪽인지 알 수 있다. 더 빠르게! 더 많이! 무선 이동통신 기술오! 이제 내 팔에 붙인 센서가 떨어질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참가하는 사람?”“저요!”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가 묻자, 여기저기서 독자들이 손을 들었다. 지난 번 게임카페에서 마주친 적이 있는 친구들은 서로 반갑게 인사를 나눴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독자들은 세 문장으로 자기소개를 하는 것으로 게임카페를 시작했다.오 교수가 독자들에게 처음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마그마가 천천히 식으면서도 만들어지고, 지하수가 흐르는 곳에서도 만들어지지요. 사람 손이 닿지 않는 깊숙한 곳에서 조금씩 자라다가 광산이 개발이 되거나 채석을 할 때야 비로소 세상에 모습을 보여요. 그래서 아름다운 광물을 수집하는 사람들은 광산이나 채석장 근처에서 멋진 광물이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로봇이 달려드니 이번에는 아이언맨이 강한 펀치를 날린다.스릴 있는 장면에서는 누구나 손에 땀을 쥐고 영화에 몰입한다. 하지만 영화관에서 화면이 너무 가까우면 고개를 좌우로 움직여야 하거나 목이 아파서 오히려 집중하기 어렵다. 너무 멀리 앉으면 화면이 한눈에 들어와서 생생함이 확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시리즈에는 키보드 중간에 빨간 동그라미가 있다. 트랙포인트라고 불리는 이 동그라미에 손을 대고 원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주면 마우스 포인트가 움직였다. 현재의 터치패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셈이다. 트랙포인트 전의 모델들은 현재 터치패드 자리에 있는 커다란 공을 굴려서 포인트를 ... ...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울렸던 음악 한 곡. 손에서 떨어지지 않던 소설 한 편. 가슴에 날아와 박혔던 드라마 속 명대사…. 인생에서 각자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 기억일 것이다. 그런데, 혹시 그만큼 내 마음을 움직였던 ‘과학’은 없을까?이 책의 저자 에른스트 페터 피셔는 자연과학을 이해하는 일이 문학과 예술만큼 ... ...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흩날리는 벚꽃 잎이 울려 퍼질 이 거리를~ 둘이 걸어요~ 그렇습니다. 요즘 어딜 가도 두 손 꼭 잡고 다니는 커플들로 가득하죠? 주변엔 온통 외로운 영혼뿐인데, 달콤한 냄새 솔솔 풍기는 이 분들은 도대체 다 어디서 온 걸까요? 흩날리는 벚꽃잎을 맞으며 혼자 걷다 보면, ‘얼마 안 남은 연애 ... ...
- 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살아남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새들과 달리 현대사회에서도 잘 적응하고 살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눈에 띄지만 손에는 닿지 않는 까치둥지설이 가까워지면 까치의 둥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어요. 나뭇잎 없이 앙상한 나뭇가지만 있는 나무의 아주 높은 곳에 크게 지어진 둥지가 바로 까치의 집이죠. 대부분의 새는 풀이 ... ...
- 숲을 지키는 수학의 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줄어들고 있다. 숲이 아파하고 있다. 이대로 손 놓고 있다가 머지않은 미래에는 숲을 사진으로만 감상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수학자들이 나섰다. 숲속에서 벌어지는 나무의 건강한 경쟁과 성장, 숲에 닥쳐올 수 있는 위기를 분석해 보자. 그리고 이를 이용해 어떻게 숲을 지키고 보존할 수 ... ...
- [생활] 인천 동산중 안정덕 선생님 수학, 글쓰기로 키운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테트라포드 만들기’를 비롯해 ‘텐세그리티 구조’, ‘펄러비즈’같이 학생들이 손끝으로 수학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 결과물이 모여가면서 ‘수학 체험’이라는 큰 틀이 잡히기 시작했다. 과학관으로 체험 활동을 떠나기도 하고, 전교 동아리 대회에서 40개가 넘는 수학 체험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