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밀"(으)로 총 3,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지구 밖에서 생명체를 찾아낸다면 생명의 기원에 대한 비밀에도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다. 영원한 그늘 속에 물이그동안 우주에서 물을 찾기 위한 노력은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태양계에서만도 수성, 달, 화성, 혜성 등에 물이 있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지구에서 가장 ... ...
- [포토뉴스] 블랙홀의 비밀에 다가간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이를 응용한 새로운 공식을 만들 수 있었다. 오노 박사는 이 모듈러 형식이 블랙홀의 비밀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설명했다.블랙홀은 아직까지 베일에 싸여 있는 미지의 천체로, 천문학자들은 이 천체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계산하거나 주변 천체들을 이용해 알아내 왔다. 그 특징 ... ...
- 수중동물에 다리 생긴 비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육상에 진출한 것이다. 흐물흐물한 지느러미가 견고한 다리로 진화하는 과정에는 어떤 비밀이 있었을까.호세 루이스 고메즈 스페인 파블로 데 올리비데대 박사팀은 열대어인 제브라피시 배아의 지느러미가 형성되는 시기에 ‘Hoxd13’이란 유전자를 과다 발현시켰다. 그러자 지느러미 속에서 새로운 ... ...
- 산화·환원 반응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두면 다시 빨간색, 노란색으로 돌아가요.과동이 : 우와. 짱 멋있어요. 비밀이 뭐예요?쌤 : 비밀은 바로 인디고카민 지시약입니다. 인디고카민은 산화·환원 지시약이에요. 산화된 정도에 따라 빨간색이나 초록색을 띠죠. 인디고카민이 용액 속의 산소와 결합해 많은 양이 산화되면 용액은 초록색을 ...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촉각은 전달 과정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어요. 이번에 제 몸에서 찾은 단백질이 촉각의 비밀을 풀 중요한 열쇠가 될 거예요.앗 그렇다면 내 몸에도 혹시?이번에 찾은 단백질은 제 몸속에 있는 것 뿐이랍니다. 사람 몸에도 NOMPC 같은 단백질이 있는지, 또 NOMPC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기 ... ...
-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들을 수 있어요. 돔이 타원 모양을 하고 있어 소리를 모아 주기 때문이지요.돔의 가장 큰 비밀은 내부와 외부 돔 사이에 있는 보이지 않는 세 번째 돔에 있어요. 도면을 보면 렌은 돔의 단면에 가로축과 세로축을 긋고 작게 숫자를 써 놓았어요. 그리고 가운데 있는 돔의 모양을 보면 가파른 곡선을 ... ...
- [W5 코드 브레이커] 카이사르의 죽음을 예견한 치환 암호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기원전 100년~기원전 44년)가 즐겨 사용한 암호이기도 하다. 카이사르는 가족들과 비밀 통신을 할 때 치환 암호를 사용했는데, 문자를 순서대로 세 글자씩 뒤로 밀어서 썼다고 한다. 즉 A대신 D를, B대신 E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치환 암호를 ‘카이사르 암호’라고도 부른다.암호를 믿지 못한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삽으로 눈을 치우는 모습에 솜이는 감탄했어요.눈길에도 제설차가 미끄러지지 않는 비밀은?눈이 너무 많이 내려서 제설제를 뿌려도 소용이 없을 때는 불도저나 대형 트럭 같은 제설차가 등장한다. 세계에서 가장 눈이 많이 내리는 러시아나 캐나다, 북유럽에서 특히 이렇게 눈을 치우고 얼음을 깨는 ... ...
-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말했다.“거 보게. 내가 필요할 거라 하지 않았나. 이쪽으로 오게. 여기 나만 아는 비밀 통로가 있네. 우주선이 있을 만한 곳도 짐작이 가네. 나만 따라오게.”데카르트는 한 저택을 가리키며 십자가 구역의 우두머리가 사는 곳이라고 말을 했다.“아마 저택 안쪽에 다른 사람들로부터 빼앗은 물건을 ...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뱀이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머리에서 꼬리 끝까지 담겨 있는 신체의 비밀 때문이다.뱀의 커다란 입은 제 몸 크기의 네 배가 넘는 먹이도 거뜬히 삼킨다. 머리뼈와 턱뼈가 관절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유연한 근육과 인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단 먹이를 목구멍으로 넘기면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