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밑
밑바닥
땅
마루
최저
밑면
d라이브러리
"
바닥
"(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근사적으로 그 벡터합에 의해 나타날 수 있도록 한 것 분자궤도함수(MO) 중
바닥
상태에서 결합에 관여하는 궤도 bond energy 분자내의 원자나 기(基) 사이에 결합이 생길 때 방출되는 에너지 binding energy 하나의 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핵자(양성자와 중성자)를 분리된 상태의 에너지와 핵자들이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필요가 있을 때 특히 거름종이와 함께 가열해서는 안될 때에 이용된다 그림과 같이
바닥
에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려있다 1883~1952 독일과 스위스에서 활약한 러시아 태생의 화학자 러시아의 도르파트에서 태어났다주로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라이프치히 대학 등에서 화학을 연구하여 1907년 학위를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우선 석고가 땅에 달라붙지 않도록 공룡발자국 화석
바닥
에 비닐을 깐다. 그러나 원형 그대로의 석고모형을 얻고 싶다면 비닐 대신 기름이나 비눗물을 써야 한다. 소석고와 물을 붕어빵용 반죽 정도로 무르게 섞는다. 그런 후 공룡발자국에 석고가 굳기 전에 잽싸게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된다. 이런 속도 차이는 곧 강
바닥
이 받는 힘(충격)과 비례하므로 강의 낙차가 클수록 강
바닥
은 깊게 팬다.래프팅을 하면서 중요한 것은 강의 낙차보다 홀 주위에 생기는 역류 현상이다. 따라서 더 중요한 점은 홀의 모양에 따라 역류의 형태가 결정된다는 것이다.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바라보았을 때 ... ...
현실과 90% 똑같은 사이버관광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특별히 할 일이 없는 김군, 아침을 은 후 오늘은 무얼 할지 고민에 빠진다. 할 일 없이 방
바닥
을 뒹굴기는 싫고, 뭔가 정말 재밌으면서 유익한 일은 없을까.그때 우연히 10원짜리 동전에 그려진 다보탑이 김군의 눈에 들어온다. “그래, 결정했어. 국사시간에 배운 신라의 역사도 직접 느껴볼 겸 경주 ... ...
카펫서 몸무게 재면 10% 더 나가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저울의 눈금은 공장에서 딱딱한
바닥
을 기준으로 매겨져 있다. 푹신한 카펫이나 딱딱한
바닥
에서나 받침점의 위치가 같아지도록 저울을 개량해 시험한 결과 몸무게 차이는 10%에서 2.5%로 줄었다 ... ...
이동통신이 지배하는 정보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된다. 냉장고와 슈퍼마켓이 원격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돼 있어 우유나 오렌지 주스가
바닥
이 날 즈음엔 자동으로 주문이 되도록 설정해놨기 때문. 안방에 들어서니 오디오에선 내 기분에 맞는 테마 곡이 흘러나온다.기계와 기계의 커뮤니케이션휴대폰뿐만 아니라 가전기기, 사무용 기기, 심지어 패션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맡았다. 당시 긴급 탐사에서 건져 올린 청자는 뻘층 표면으로 노출된 것들이다.
바닥
이 뻘이라고는 하지만 호미가 부러질 정도로 단단해 뻘층을 파내고 청자를 인양한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작업이 아니다. 따라서 해양유물전시관측은 일단 해저 표면에 노출된 것만 수습했다.그렇게 2백11점의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호수가 약 70개 정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래의 언젠가 이 물을 채집하고 호수
바닥
에 있는 퇴적물을 얻는다면 지금은 상상하지도 못하는 신기한 현상들이 밝혀지리라 믿는다. 남극 오존층은 환경 바로미터또한 남극은 북극과는 다른 극지환경으로 문명세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 ...
골프공이 포물선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사이클로이드다. 우리 선조들은 기와의 모양을 사이클로이드로 만들면 빗물이 지붕에서
바닥
으로 빨리 흘러내릴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높이 나는 매도 땅에 있는 먹이감을 보고 먹이감이 있는 곳까지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따라 낙하한다. 우리 선조나 매는 사이클로이드를 수식이 아닌 삶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