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근거있는 엉뚱함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특허만 50개를 갖고 있는 보조교사 박현우(성균관대 전기공학과 1년)씨는 3M 캠프를 “소
규모
교육 혁명”이라고 표현한다. 자신이 고등학교 1학년 때, 전국에서 몇 명만 뽑혀 받았던 수업을 이 학생들은 중학교 때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박씨는 “처음 발명에 관한 교육을 받으면서 은행원이나 ... ...
2. 모양은 같아도 기술은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소형궤도열차는 노선거리 1~10km, 탑승인원 1~6명으로
규모
가 작은 반면 승객이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매연이나 소음 등 환경오염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소형궤도열차는 고정된 일정에 따라 획일적으로 운행되는 것이 아니라 승객의 요구에 따라 움직이는 자동화 ... ...
꿈일까, 현실일까? 눈앞에 펼쳐지는 에너지 유토피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상징한다.전기에너지관 Best 손 뻗으면 만져질 듯한 입체영화관전기에너지관에는 409석
규모
의 대형 입체 영화관이 있다. 태양열 로봇이 자신의 몸에 뿌리를 내린 새싹에서 에너지를 얻어 전쟁으로 파괴된 자연을 치유하는 과정을 그린 ‘트리 로보’(Tree Robo)를 상영하고 있다. 2005년 일본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지 알아보는 연구 이 연구가 의미가 있으려면 연구할 집단의
규모
가 커야 하고, 집단에 속한 각 대상을 지속적으로 조사해야 한다지방세포가 만들어내는 단백질 비만 정도가 심할수록 혈액 중 렙틴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비만 단백질'이라고도 불린다컴퓨터 그래픽스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부각됐다. 제국주의 열강의 침탈 수단으로도 이용됐다. 물자와 인구가 철도를 따라 대
규모
로 이동하면서 도시를 발전시켰고, 나아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선도했지만 서구 문명의 정복수단이 되기도 했다. 107년 전 이 땅에 철마 태어나다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은 미국인 기업가 모스(Morse)가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ExoMars)를 2011년 러시아의 로켓인 소유즈-프레겟을 이용해 발사할 예정이다. MSL 보다는
규모
가 작지만 피닉스와 MSL의 장점을 가진 탐사체로 주목받고 있다.드릴을 이용해 지하 2m까지 뚫고 ‘생명표지칩’(life marker chip)을 이용해 소멸했거나 살아있는 생명체의 흔적(아미노산 같은 유기물)을 찾는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식재료가 전국으로 쉽게 퍼지는 상황에서는 원인식품을 확인하기가 더욱 어렵다. 대
규모
의 식중독 환자가 며칠 간격으로 전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항상 있는 셈이다. 원인식품을 밝혀낼 방법은 없을까.최근 국내에서는 ‘펄스넷’(PulseNet)을 통해 원인식품을 추적하고 원인균을 밝혀내는 시스템을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개방시대에 우리나라의 농업은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우리나라는 산이 많고 경작지
규모
가 작아 평야가 넓은 선진농업국과 경쟁하기 쉽지 않다. 또 수천 년 간 농사를 지어 왔기 때문에 토양생산성이 낮다. 그렇다고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비록 가격경쟁력은 낮지만 기후 조건과 자연환경이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앞에서 제안한 것보다 훨씬 멋진, 태권V 기지와 더 나아가 현재의 개념을 뛰어넘는 대
규모
지하도시까지 건설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보지 않겠는가. 모두가 하늘을 마음대로 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을 때 비행기를 고안해 제작한 라이트 형제처럼 말이다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981년 서울대 항공공학과에 입학한 뒤 16년 동안 오직 한길만 걸어왔다. 항공우주공학은
규모
가 크고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혼자서 연구하기 어려운 분야다. 연구 성과도 더디게 나타난다.하지만 방 교수는 “어려우니까 도전하고 싶다”고 말한다. 그는“항공우주공학을 연구하면서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