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봄에 만날 수 있는 생물을 관찰한 기록을 올려주었어요.동면에서 깨어난 참개구리, 활짝 핀 산수유와 나비, 귀여운 새들까지!지구사랑탐사대 10기 대원들이 만난 생물종들! 지금 확인해 보아요~! 양서류 신성욱 대원 다람쥐 팀탐사 생물 참개구리발견 위치 경북 칠 ... ...
- [특집] 꿀벌도 헷갈려! 식물계절이 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우리가 한 해 동안 달력을 보고 생활하듯이, 식물도 각 계절에 맞게 변화합니다. 봄에는 잎과 꽃이 피어나고,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며 잎이 떨어져요. 식물의 변화에 따라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이 생활하는 모습도 달라지죠. 그런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계절에 따른 식물들의 변화 주기인 ‘ ... ...
- [특집] 식물계절 연구 현장에 다녀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사진을 찍고 기록만 하면 되죠. 여러분이 지구사랑탐사대 식물 개화, 단풍 탐사 등 시민과학에 참여해 데이터를 쌓아준다면 연구자들은 그걸 토대로 식물계절과 기후변화에 대해 더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거예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북극 지방에 사는 북극여우부터 깊은 숲에 사는 호랑이까지.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놀라운 야생동물들의 ‘숨멎’ 순간을 어과동에서 종종 본 적 있을 거야. 이런 사진들은 아마존과 극지방 같은 오지에서 찍힐 텐데…. 대체 어떤 사람들이 오지에서 사진을 찍는 걸까? 나, 마이보가 야생동물 사 ... ...
- [특집] 전설의 황금책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놀이북 4쪽과 함께 보세요! “배고파”부키피는 텅 빈 식탁을 보며 울상을 지었어요. 부키피는 어린이들이 다 읽고 아무렇게나 던져둔 종이책을 먹어치우는 요정이지요. 그런데 요즘은 어린이들이 책을 많이 읽지 않아서 먹을 책이 없어졌대요. 비어있는 책장을 보며 입맛을 다시는 순간기발한 ... ...
- [숫자뉴스] 1만 년 전 매머드, 다시 살아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고생물학★ 분야의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해 복원했지만, 자료가 부족한 부분은 과학적 상상력을 더해서 만들었다고 밝혔어요. 매트 데이비스 박사는 “마스토돈은 지금까지 털 몇 가닥밖에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두꺼운 털가죽이 몸을 덮었을 것이라는 상상을 더해 3D로 복원했다”고 말했어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놀이북 10쪽과 함께 보세요! 지난 줄거리. 고딱지와 프로보는 마누팩토 행성에서 로봇들을 마음대로 조종하려는 해커 ‘넓은마음’을 막아내는 데 ... 우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여러 매체에서 과학을 재미있게 전해주는 일도 하고 있답니다 ...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하나씩 주는 방식으로 가르쳐 주셨어요. 이후 히로나카 교수님의 권유로 서울대 수리과학부 석사과정에 들어갔어요. 전공은 역시 히로나카 교수님과 같은 대수기하학으로 정했지요. 실제 히로나카 교수님이 준 퍼즐 조각 중 하나인 ‘특이점’을 응용해서 석사 학위 논문을 썼고, 그게 훗날 여러 ... ...
- [스승이 말하는 허준이 교수] 겸손하고 따뜻하지만, 연구 앞에서는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1970년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헤이스케 미국 하버드대학교 명예교수님을 서울대 수리과학부로 모시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필자는 학생들에게 히로나카 교수님의 강의에 참여하도록 독려했습니다. 하루는 히로나카 교수님과 환담하면서 눈에 띄는 학생이 있냐고 물었더니 한 명이 있다고, 정말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허준이 교수의 연구 분야를 한마디로 말하면 ‘조합 대수기하학’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수기하학을 통해 조합론의 문제를 해결하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입니다. 조합론이란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오는 ‘경우의 수’를 통해 익숙한 분야입니다. 예를 들면 ‘쾨니히스베르크의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