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
간접
중위
도중
중도
반도
가운데
d라이브러리
"
중간
"(으)로 총 2,063건 검색되었습니다.
TV화면 보다 선명도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03
CGA와 EGA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CGA카드에서는 일반 문자만 출력하는 텍스트 모드와
중간
해상도의 그래픽 모드를 지원하고 있는데, 그래픽 모드에서는 640X200의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고 한 화면에 네가지 색상까지 지정할 수 있다. 해상도가 낮아 화면의 질이 조잡한 것이 흠이다. EGA카드는 CGA와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03
반응 사이의 인과적 관계만을 연구하는데 중심을 두어왔으며, 그 사이에 내재하는
중간
과정을 처리하는 두뇌는 마치 바닷속 깊숙이 가라 앉아 있는 '블랙박스'처럼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존재로 취급됐다.최근 하드웨어로서 두뇌의 구성을 심도있게 파헤친 신경과학의 발전과 아울러 수학과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03
올 때 줄을 지어 다니는것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만약 줄을 지어 다니는 개미행렬의
중간
부분을 물로 깨끗이 닦아 버리면 개미의 행렬은 어떻게 될까 ?① 원래대로 계속 줄을 지어 다닌다.② 물로 닦은 부분에서 행렬이 끊어진다. 대열에서 탈락한 개미들은 이곳 저곳을 돌아다닌다.③ 물을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03
하여 인공지능의 중요한 연구분야로 취급하고 있다.사람은 신호정보로부터
중간
적인 기호적 표현과 또 이를 이용한 고도의 판단 등이 두뇌내에서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잡한 환경에서도 삶을 영위해 나간다. 즉 신호처리와 논리적 판단이란 두가지 기능을 모두 두뇌라는 하드웨어를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03
있을 것이다. 그런데 |하이드>로 변하면 우리가 관찰할 수 없게 되므로 마치 중성미자가
중간
에서 없어진 것처럼 보이게 된다. 대다수의 물리학자들은 이것이 '태양에서 오는 중성미자의 수수께끼'에 대한 해답이라고 믿고 있다.폰테콜브박사는 |지킬>이나 |하이드>는 |선>과 |악>의 복합체고 역으로 ... ...
주변기기 활용법-마우스
과학동아
l
199102
격자를 지날 때마다 감광 센서가 이를 감지, 컴퓨터에 보내 준다.앞서 소개한 두 제품의
중간
형태가 기계광학마우스다. 이 마우스는 볼을 내장하고 있으며 볼과 연결된 엔코더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회전하는 반대편에는 작은 휠이 달려 있다. 이들 휠에는 각각 작은 구멍이 여러개 뚫려 있는데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02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4) ① 온도계를 사용하다 보면 온도계가 눈금의
중간
에서 끊겨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런 상황을 맞지 않으려면 알코올에 기포 가 생기지 않도록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 끓는 물과 얼음 물에 번갈아 여러 번 넣으면 알코올에 남아 있던 기포가 나가게 된다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02
전압으로 환산된다. 다시 이 전압은 배터리로 가동되는 전자인터페이스(interface, 의족의
중간
쯤에 위치하고 있다)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는 의존환자의 실제 피부와 접하고 있는 전기 소켓의 전극을 자극한다. 그러면 의족보행자도 보통사람과 비슷하게 땅밟는 느낌을 갖게 된다.물론 땅을 가볍게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02
n+1)/2을 잊어먹은 고등학생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 답을 구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중간
수준 이상의 학생들은 거의가 알고 있을 것이다.1+2+3+…(n-1)+n+{n+(n-1)+(n-2)+…2+1}=n+1+n+1+n+1…n+1+n+1=n(n+1)∴1+2+3+…+n(n+1)/2이것은 가우스라는 유명한 수학자가 국민학교에 다니는 어린 시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02
목판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지금도 보존돼 있다. 그것은 1856년에 중국 광동(廣東)에서
중간
(重刊)된 지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목판 제작솜씨는 중국판보다 더 당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백72.3㎝x56.9㎝ 크기의 이 지도는 목판본으로는 조선에서 가장 큰 세계지도인데 채색을 넣어 무척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