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스페셜
"
치료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미국과 유럽 등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세포 수준에서 입증된 패혈증과 관절염
치료
효과를 동물에게도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일자에 실렸다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이루기 위한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문으로 발표된 연구가 실질적인
치료
로 이어지는 경우가 드문 이유는 목적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세포 단계에서 성공한 연구가 환자에게 도움이 되려면 반드시 임상 연구를 거쳐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 과정에 대한 지원이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헬리코박터 균을 배양해 직접 마셔서 위궤양이 발생하고, 그 위궤양이 항생제로
치료
된다는 것을 보이고서야 비로소 학자들의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 “나 자신을 믿어라” “헬리코박터균의 발견은 인류 건강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고, 과학자가 고정관념을 믿는 것이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연구를 계속했다. 70여건 이상의 해외 우수논문을 발표하고, 세계적인 에이즈
치료
제인 ´Sustiva´의 개발 및 제품화에 참여했다. 이런 공로로 2009년에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수여하는 과학기술포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국가연구기관은 기초연구 강화해야… “사업화는 오송에서 맡겠다”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양해각서(MOU)를 보건복지부와 4월 체결했고, 6월에는 한화케미칼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제로 쓰이는 바이오시밀러 ‘HD203’에 대한 글로벌 판매 계약을 맺었다. 주제발표에 나선 마이크 케이맥 머크바이오벤처 사장은 “바이오시밀러를 중심으로 바이오의약품 시대가 오고 있다”며 “한국은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각종 난치병
치료
제를 연구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에는 김 단장이 만든 신경세포 분화기술이 국제줄기세포 포럼에서 세계 표준으로 채택된 바 있다. ●“청소년들이 롤 모델로 삼을 만 한 스타 과학자를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있다. 의료 현장의 공백 기술을 배우자는 취지로 2009년 시작됐다. 현장에서 의사가
치료
와 진단을 하다 부족한 부분을 제안하면 BT뿐 아니라 기계공학 연구자까지 공동 연구팀을 꾸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단장은 “의사가 연구 책임자, 기초연구자가 세부과제 책임자가 되는 형식”이라며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정확히 모르지만 이 단백질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것을 막는 단백질 의약품은 유방암
치료
제로 쓰인다. 울렌 교수는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논문이 최근 한국에서 많이 발표된다”며 한국의 연구역량을 높이 샀다. 한국 정부와 기업이 생명공학기술(BT)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집중 투자를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된 미국 길리어드사는 한때 15년간 적자에 시달렸습니다. 그러다 신종 인플루엔자A(H1N1)
치료
제인 ‘타미플루’ 등이 성공하면서 단숨에 시가총액 46조원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한국에는 15년을 기다려줄 투자자나 벤처 캐피털이 없어요. 정부가 원칙을 갖고 신약 분야에 긴 호흡으로 지원해야 하는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말했다. 성 교수는 1979~1982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재직 당시 세계에서 3번째로 결핵
치료
제를 개발하고 1992년에는 스프레이형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했다. 2004년에는 신약개발에 필수적인 활성형 단백질을 RNA로 만드는 기술 특허를 내 신약 개발 분야 권위자로 통한다. ●신약 개발에는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