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종양"(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동아사이언스 l2018.01.07
- 성장했다. 이번 연구를 지도한 토마스 가예프스키 교수는 “이번 결과는 미생물이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이끌어 내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향후 연구팀은 비피더스 균 같은 생균제가 면역 치료를 촉진할 수 있는지 임상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박사가 개발했다. 1998년 트레이시 박사는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반응 촉진 물질인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작용을 억제하는 CNI-1493이라는 약물을 연구하고 있었다. 하루는 이 약물을 쥐의 뇌에 넣어 뇌졸중이 일어났을 때 항염증 효과를 보려고 했는데 뜻밖에도 몸 전체에서 TNF-α의 수치가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것이 특징이다. 조 그룹리더가 연구진과 개발한 FAST 랩온어디스크는 혈관 내 순환 종양세포(CTC)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 IBS 제공 한편 엑소디스크(Exodisc)는 나노 소포체를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으며(B) 동시에 두 개의 샘플을 분석할 수 있다(C). 두 필터는 600㎚, 20㎚ 크기로 설치되어 있어 ... ...
- 암 전이에 핵심 역할하는 줄기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네이처 제공 3월 29일자 ‘네이처’ 표지에는 암 줄기세포가 등장했다. 최근 일부 줄기세포가 암의 발달과 전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 DT치료를 해 Lgr5+ 줄기세포가 파괴돼 전체 종양 크기가 줄어든다. 그리고 DT치료를 멈춰도 종양이 다시 자라지 않는다. - 네이처 ...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동아사이언스 l2017.02.05
- 제거하는 것으로 해결 가능한 양성 종양인지, 의료적 처치를 빠르게 받아야하는 악성 종양인지 판단해 준다. CNN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팀은 2032 종류나 되는 피부 질환 사진 12만 9450장을 분류해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켰다. 학습을 마친 뒤 피부과 전문의 21명과 함께 사진 판독으로 피부 질환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형광을 입혀 수술 중에 실수로 신경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형광안내수술 프로젝트와 종양에서 형광을 발하는 탐침을 개발해 암을 조기에 검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주력하고 있었다. 첸은 160건이 넘는 미국특허를 보유했고 바이오벤처를 세 곳 설립했는데 주로 자신의 ... ...
- 말 못 할 고민, 과민성 방광2016.10.21
- 요로감염 등 방광 관련 질환과 전립선이나 신경계 질환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특히 뇌종양, 치매, 파킨슨병, 뇌혈관 질환, 디스크, 척추관협착, 말초신경병증 등은 하부 요로계를 조절하는 신경계를 손상시켜 과민성 방광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노화도 이유다. 나이가 들면 방광은 ... ...
- 생존율 한자리 수, 췌장암의 습격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높고 침습성이 강한데다 췌장 주변에 대정맥과 대동맥, 간문맥 등 주요 혈관이 있어 종양이 조금만 자라도 혈액을 통해 쉽게 전이가 이뤄진다는 점도 이유다. 이 때문에 췌장암 환자의 70%는 수술이 어려운 3기와 4기에 진단을 받는다. 3기는 췌장에서 시작해 주위혈관 특히 주요 동맥으로 전이가 ... ...
- 세균 싹~ 잡는다던 트리클로산, 왜 치약에서 사라졌을까2016.07.31
- PNA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실험용 생쥐를 6개월 간 트리클로산에 노출시켰더니 종양에 걸릴 확률이 높아졌다. 하지만 실제로 인간에게는 큰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 튜기 교수는 “쥐의 6개월은 사람으로 치면 약 18년에 해당한다”며 “치약에 포함된 정도는 그대로 사용해도 괜찮다”고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있다. 명경재 단장은 DNA의 복제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 ATAD5를 찾아냈다. ATAD5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 작용한다. 연구진은 생쥐에서 ATAD5의 발현 양을 의도적으로 줄이면 암이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 자궁내막암, 대장암 등 사람 암 세포에서 ATAD5 유전자의 돌변이가 발견되기도 한다. ATAD5 유전자의 ... ...
이전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