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스페셜
"
이름
"(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창과 방패의 대결...컴퓨터 보안의 역사
KOITA
l
2013.05.03
있다는 것 아닌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방법이 바로 OTP(One Time Password)다. OTP는
이름
그대로 일회용 비밀번호다. 암호가 필요할 때마다 그때그때 다른 암호를 생성한다. 한 번 사용한 암호를 다시 쓰지 않으므로 암호 입력 정보를 중간에서 입수한다 한들 보안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OTP는 ... ...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
KIMST
l
2013.05.03
각 지역 전통 아리랑의 역사와 관련된 유물들이 빼곡 히 전시돼 있다. 물론 체험관이라는
이름
에 걸맞게 전통악기를 연주하거나 아리랑을 따라 부 를 수 있는 체험실도 준비되어 있어 남도의 소리를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한 아리랑체험관 정문을 뒤로하고 펼쳐지는 비경도 놓칠 수 없다. ... ...
산림에도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KISTI
l
2013.05.02
오래된 나무가 더 쓸모가 있다.임업에서는 가슴높이의 나무줄기의 지름에 따라 숲의
이름
을 붙이는데, 25cm 미만이면 어린나무 숲, 즉 ‘유령림’이라고 하고 26~40cm 미만이면 ‘장령림’이라고 한다. 40cm 이상이면 ‘노령림’이라고 하는데, 이 정도가 돼야 실제로 목재로 쓰기 좋은 상태가 된다. 현재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뤘다“고 소개했다. 한 스탠퍼드대 연구원은 “유력학술지에 한국인 생명과학자
이름
이 빠지는 달이 없을 정도로 기초과학역량은 탄탄해졌다”면서 “지금 부족한 것은 사업노하우”라고 설명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 영향은 BT업계 역시 마찬가지다. 올해 애틀란타에서 열린 ... ...
“미국에 바이오 정책센터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donga.com “한국의 기초과학 연구역량은 탄탄하다. 세계 유력 학술지에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
이 올라가지 않는 달이 없을 정도다. 필요한 건 사업노하우를 얻는 일이다. 미국 현지에 정책전문연구 센터를 만들어 운영하는 등, 사업화 노하우 습득에 주력할 때다.” (스탠퍼드대 재미한인 과학기술자)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어느 분야의 기술보다도 빠른 진보를 보인 반도체 분야의 혁신은 ‘무어의 법칙’이라는
이름
이 붙을 정도로 오랜 기간 꾸준히 계속됐다. ‘무어의 법칙’이란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주창한 것으로 ‘반도체의 트랜지스터 개수, 즉 기억용량은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 ...
반도체를 알면 전자제품이 보인다.
KAIST
l
2013.04.30
없는 생활을 상상할수 있을까? 우리는 디지털 시대라는
이름
에 걸맞게 매일 수많은 전자제품을 이용하며 살 있다. 몸의 일부처럼 휴대하는 스마트폰부터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나 TV, 가사를 돕는 세탁기나 냉장고 등 일상생활의 모든 곳에서 전자제품이 활약한다. 전자제품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
KAIST
l
2013.04.29
중간마다 페이스북을 확인하는데 뉴스피드가 KAMF이야기로 도배가 되어있는 거에요.
이름
이 태그 돼서 ‘다혜누나 감사합니다.’ 같은 내용이 적혀있을 때 내가 뭘 하긴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뿌듯했어요. 그리고 마지막, 기획단이 다 같이 모여서 델리스파이스가 뿌린 종이 꽃들을 하나하나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날개를 단 격이 되었다. 사실상 투자자들은 CDMA 기술보다는 제이콥스와 비터비라는
이름
을 더 중요하게 여긴 셈이다. 요컨대 한국에서 흔히 오해하듯 ETRI와 접촉하던 시점의 퀄컴은 그저 그런 무명의 벤처회사는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필드 테스트를 통과했음에도 CDMA의 진전은 지지부진하기만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생체물질(tRNA)의 3차원 구조를 처음으로 확인해 영문 교과서에 ‘Courtesy of S.H.Kim’라는
이름
을 올린 인물이다. 1988년에는 암의 원인이 되는 주요 단백질 중 하나인 ‘Ras의 3차원 구조’를 밝혀 항암제 연구에 새 길을 열기도 했다. 김 교수가 2007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