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스페셜
"
언어
"(으)로 총 299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퍼졌는지, 같은 계통의
언어
를 쓰는 사람들은 어떻게 만나고 헤어짐을 반복하며 거대한
언어
공동체를 이뤘는지 등 수수께끼가 잇따른다.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와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아래 사진)가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팀은 최근 이런 역사계의 '난제'를 푸는 최전선의 ... ...
"인포데믹 탓에 백신 거부 운동까지 등장"…국가간 협력 필요할 만큼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20.05.12
50여 명 넘는 이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나라
언어
로 공유하면서 지금은 20개국
언어
로 78개국에 캠페인이 전파됐다”며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남미에서도 모르던 사실을 알게 됐다며 감사하다는 메시지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차 교수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적은 저소득 국가일수록 ... ...
심우주 첫 손님, 오무아무아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05.05
‘판스타스(Pan-STARRS)1’ 망원경에 처음 포착된 오무아무아(Oumuamua·미국 하와이주 원주민
언어
로 ‘먼 곳에서 온 메신저’라는 뜻)는 최장 길이가 약 400m로 오이처럼 길쭉한 외형이 특징이다. 오무아무아의 정식 명칭은 ‘1I/2017 U1’로, 이름에 붙은 ‘1I’의 의미는 첫 번째 인터스텔라 ... ...
해외유입 상황·연휴 영향 주시하고 방역사각 40만명 보살펴야…생활방역 전환의 전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1
등의 감염을 관리할 방안을 발표했다. 외국인을 위해서는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16개국
언어
로 코로나19 검사 체계를 안내하기로 했다. 법무부나 고용노동부 등의 콜센터를 활용해 선별진료소에서 비대면 통역서비스를 지원한다. 필요하면 밀집 지역에 이동형 진료소도 운영하기로 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게놈 3600개 분석 결과 보니..."변종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 매주 해설 형식의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다. 이를 지역
언어
로 번역해 알리는 데에도 연구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강교빈 숙명여대 약대 교수와 하태훈 연구원 등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강 교수는 “바이러스나 게놈 전문가가 아니지만 ... ...
전 세계 52개국 과학자 참여하는 코로나19 후각 연구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증상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있다. 설문지는 한국어를 포함해 20개
언어
로 번역됐다. 설문지 작성에 약 10분 정도 소요된다. 이미 프랑스어 설문지는 약 8000명이, 영어 설문지는 약 3300명이 작성을 마쳤다. 해당 링크(https://gcchemosensr.org)에서 설문에 참여할 수 있다. 정 교수는 ... ...
하지마비 환자, 뇌파 인식모자 쓰고 로봇옷 입고 걷는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때문이다. 인간의 생각을 내려받겠다는 목표로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나 생각을 그대로
언어
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 중인 페이스북은 모두 센서를 뇌에 삽입하는 침습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르노블대 연구팀도 뇌와 두피 사이에 측정장치 두 개를 삽입해 로봇을 움직였다. 하지만 뇌 속에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결국은 면역이다 (하)
2020.04.17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은 세포와 세포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일종의 ‘세포 간
언어
’다. 케모카인은 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는 신호로 세포들을 특정 위치로 불러 모은다. 사이토카인은 여러 면역세포들을 활성화해 바이러스와 잘 싸울 수 있는 태세를 갖추게 하고, 동시에 후천성 면역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된 인간은 이런 편측성이 더 치우치게 일어났다는 것이다. 그 결과 한쪽 뇌가 손상될 때
언어
또는 음악 능력이 크게 떨어지게 됐다. 꽤 그럴듯한 이론이다. 노래의 감동은 우뇌도 큰 몫 노래에서 단어는 좌뇌가 멜로디는 우뇌가 주로 처리한다고 해서 가사의 비중이 큰 트롯이 ‘좌뇌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코로나바이러스와 인포데믹
2020.04.13
부작용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필자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대표적인 가짜뉴스를 여러
언어
로 번역하여 선제적으로 알리는 ‘루머를 앞선 팩트(Facts Before Rumor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국가에서 국가로 퍼지는 인포데믹을 방어하기 위함이다. 혼란이 큰 때다. 어느 때보다 전문가들의 노력과 협업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