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질
성격
본질
천성
됨됨이
특성
특징
스페셜
"
성질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AI로
성질
예측 가능해진 '고엔트로피 합금'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과정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해석할 수 있는 ‘설명 가능한 AI’를 활용해 특정한
성질
을 갖는 고엔트로피 합금을 설계에 필요한 핵심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냈다. 보통 AI는 ‘블랙박스’처럼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알 수 없어 결괏값을 제어할 수 없다. 연구를 이끈 이승철 교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2020.11.07
조건에서 비롯된 국소(local)적
성질
, 시공간이 고립된 천체를 기술한다는 대역(global)적
성질
간 대치에서 비롯된다. 이는 미분기하학에서 흔히 쓰이는 논증 방법이다. 갇힌 표면이 반짝였을 때 생기는 모든 빛의 궤적을 관찰하는 것으로 시작해 보자. 갇힌 표면 위에 있는 일반적인 물질에서 중력은 ... ...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자석 만든 백종범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강자성은 물질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스스로 자기화돼 자석이 되는
성질
이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켐’ 2018년 8월자에 실렸다. 백 교수가 유기물 플라스틱으로 만든 유기물 자석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규명하면서 금속으로만 자석을 만들 수 있다는 통념이 깨지고 유기물 ... ...
[이덕환의 과학세상]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2020.10.28
하나가 삼중수소로 대체된 삼중수소수(HTO)의 형태로 존재한다. 삼중수소수의 화학적
성질
은 보통의 물과 조금도 다르지 않기 때문에 화학적으로는 분리가 불가능하다. 삼중수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는 것은 사실이다. 다행히 삼중수소의 붕괴에서 방출되는 베타선은 에너지가 너무 작아서 사람의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주기율표 만들어 볼까
과학동아
l
2020.10.28
화학 원소를 동물 이름과 짝지어 외우기 쉬운 주기율표를 만든다면 어떨까. 비슷한
성질
을 가진 원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마인드맵 주기율표가 있다면 화학을 지금보다 더 이해하기 쉬울까. 대한화학회는 한국화학연구원, 과학동아와 내달 1일부터 한달간 화학 실험시간에 사용하는 ... ...
[과학자의 서재]"수학과 문학에 빠진 수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비누막에 관한 연구다. 철사로 만든 도형을 비눗물에 담근 뒤 꺼내면 비누의 화학적
성질
때문에 면적을 최소로 하는 모양을 만드는데, 이 원리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분야다. 고등과학원 원장실에 들어서자 최 원장은 ‘서재는 다른 곳에 있다’며 위층 연구실로 안내했다. 연구실에 들어서자 ... ...
[표지로 읽는 과학]100년 만에 구현한 상온 초전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7
년 처음 발견한 초전도성은 특정 조건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고 주변 자기장을 밀어내는
성질
이다. 초전도성을 갖는 물질인 ‘초전도체’로 전선을 만들면 전기를 손실 없이 보낼 수 있어 전기 제품의 효율을 높이거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전기 저항이 0이 되면 초전도체는 내부로 들어오는 ... ...
[고쳐 쓰자, 과학용어](3)'과학자의 언어'를 '대중의 언어'로 바꾸려면
2020.10.16
원어 혼용 필요 “‘엑시톤’ ‘스핀’ ‘캐리어’는 영어로 표기하면 입자의
성질
을 짐작할 수 있는 재치있는 과학용어로 볼 수 있지만, 한글로 표기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용어가 됩니다.” 엑시톤(exciton)은 반도체에서 전자와 정공(전자가 차 있지 않은 구멍)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이달 15일 밝혔다. 스피로리란은 외부 힘에 반응해 화학적 구조가 바뀌며 색도 변하는
성질
을 가진 소재다. 이 물질을 콘크리트나 실리콘 등에 주입하면 힘을 받거나 손상을 입을 때 색이 변하는 스마트 소재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소재에 스피로리란을 넣으면 색 변화가 잘 일어나지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연구를 한 연구자가 아직 받지 않았다. 현 교수는 “나노 입자 분야에서는 ‘입자가
성질
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양자점 발견으로 증명한 기념비적인 연구를 한 루이스 브루스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와 알렉산더 이프로스 미해군연구소 연구원 등이 아직 수상 전이다”라며 “나는 이런 나노 입자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