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스페셜
"
서울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변리사를 의무 배치하는 등 사업화 지원을 강화해야”고 조언했다. 신 박사는 “
서울
대 연구시설이 미국보다 결코 나쁘지 않았다”면서 “창의적 사업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사업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많은 재미 한인과학자들도 이 같은 시각을 갖추고 “한국에 필요한 것은 ... ...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는 동전의 양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기대하고, 이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펴나갈 계획이에요.” 국회의원으로 일하면서 그는
서울
대와 차병원, 국립암센터 등 생명과학 연구 현장을 여러 차례 둘러봤다. 현장에서 몸속에 숨어 있는 암세포를 추적해가면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진의 설명을 들었을 땐 “한국 과학이 이렇게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같이 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7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서울
회의실에서 ‘제3회 BT전문가 좌담회’를 열었다. 이 좌담회는 생명공학(BT) 분야 주요 현안들을 주제로 매월 열리는 토론의 장으로 향후 국가 연구개발(R&D)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열리고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성형외과 의국장 2003년 3월~현재 성균관대 의대 성형외과학교실 교수 2007년 9월~현재 삼성
서울
병원 성형외과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욕구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줄기세포 연구가 황우석 전
서울
대 교수의 논문조작 사건 이후 침체돼 있다가 이제는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고 봅니다. 최근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줄기세포 연구에 연방정부 자금 지원을 허용하면서 분위기는 더 좋아졌죠.” 차병원이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텀업 연구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유명희 단장은 1972~1976
서울
대 미생물학 학사 1977~1981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미생물학(단백질생화학) 박사 1981~1985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물학과 박사후 연구원 1985~200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2000~현재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학장 2000년~2001년 한국뇌신경과학회 이사장 2000년~현재 치매정복창의연구단장 2002년~현재
서울
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2005년~현재 국제인간프론티어과학기구 본부이사 2008년~현재 한국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지원을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연구기관이
서울
에 집중돼 있을 뿐 연구의 시너지 효과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제가 몸담고 있는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는 인천의 끝자락인 송도에 있어요. 하지만 암발생에 관여하는 물질인 ‘TGF-β’와 당뇨에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신약개발 문제 해결방안’이라는 주제로 5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서울
회의실에 모인 이들은 3시간이 넘는 토론을 통해 ‘국내 신약개발 산업이 희망적이지만 효과적인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모임에는 김대경 중앙대 약대학장, 묵현상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대기업과 중소기업, 벤처를 모두 육성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박영훈 원장은 1970~1974
서울
대 화학공학과 학사 1974~1976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0~1983 미국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 화학공학과 박사 미국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 강사 1983~1993 KAIST 유전공학연구소 응용생물공정연구부장 199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