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스페셜
"
사실
"(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
IBS
l
2015.01.16
노획품이기도 했다. 사진은 1차대전 당시 독일 군인이 사용했던 손목시계. © Museumsfoto
사실
팔찌 시계는 아주 기발한 아이디어까지는 아니었다. 이미 1810년, 시계 제조사인 브레게가 사슬에 작은 시계를 매단 손목시계를 발명한 바 있었다. 시계가 당대 최고의 첨단기기였음을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변수가 2개인 경우는 2차원 분광학이 적용되는 상황이다.
사실
다차원 분광학적 방법은 핵자기공명(NMR) 분광학 분야에서 먼저 시작됐다. 그런데 이 방법을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분야로 확장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굉장히 어려웠다. 1990년대 펨토초 레이저 펄스를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감지할 수 없다는 특성 때문에 뢴트겐이 발견할 때까지 사람들이 몰랐다는 것이다.
사실
X선은 뢴트겐보다 크룩스가 먼저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크룩스는 아무런 이유도 없이 그의 음극선 실험실에 있던, 아직 뜯어보지도 않은 새 사진건판이 못쓰게 되어 있는 것을 자주 발견했다. 그래서 ... ...
[MATH] 피라미드에 얽힌 이집트의 수학이야기! 작도와 왕도
KISTI
l
2014.12.29
길에는 왕께서 다니시도록 만들어 놓은 왕도가 있지만,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사실
위에서 말하는 ‘왕도’는 기원전 330년 알렉산더 대왕에게 멸망당한 페르시아 제국이 만든 길이다. 이 길이 만들어진 배경을 간단히 알아보자.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의 지역인 메소포타미아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
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이미지출처_대영도서관 참고_과학동아 2014년 9월호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26
“신선식품의 노로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유통 전에 검사하려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사실
상 불가능했다”면서 “다른 식중독 바이러스인 로타바이러스와 A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키트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 슈퍼박테리아도 바이오마커로 30분 만에 확인 김승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
[기술이 바꾼 미래] 거대 제약사, 비아그라로 역습을 당하다
KOITA
l
2014.12.22
20년 전에 이미 미세분자 형태의 일산화질소가 유기체의 전달물질로서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
을 발표했는데, 이것이 바로 비아그라의 핵심이었다. 특히 노벨상위원회는 이들 과학자들의 연구가 음경 혈관에서 일산화질소(NO)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는 성공적인 발기부전치료제의 개발에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2.19
“인간이 지금과 비슷한 골격을 갖게 된 건 약 20만 년 전입니다. 하지만 현재 인류처럼 높은 지능을 갖게 된 건 언제인지 모릅니다. 이 조그마한 석영 입자에 그 답이 ... 널리 알려진 성덕대왕신종의 재료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채굴한 것이 사용됐다는
사실
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 ...
국내 최초의 노벨화학상 후보에 오르다
IBS
l
2014.12.16
"저는 물리화학의 촉매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구조 분석을 주로 했는데,
사실
물질 합성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었죠. 우연히 1993년 외국 학회에서 MCM-41이란 실리카 다공성물질을 접한 뒤 그해부터 지금까지 나노다공성물질을 합성하는 연구를 계속해 왔습니다." 20년간 한 우물을 판 유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
IBS
l
2014.12.16
온 이가 바로 서경희 연구원이다. 서 연구원은 독일어 전공으로 대학원까지 진학했지만,
사실
식물 재배에 대한 노하우가 전혀 없었다. 졸업 후 대구에서 한 잡지사의 기자로 활약하던 그녀는 남편의 직장 때문에 포항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 하지만 여기서 제2의 인생이 시작될 줄은 상상도 하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