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본
근원
기원
원천
기초
시초
씨앗
스페셜
"
뿌리
"(으)로 총 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
2016.12.27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남을 도움으로써 얻는 보상(뿌듯함, 기쁨 등)은 본성에
뿌리
깊게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즉 어떤 상황에서든 남을 돕는 일은 사회적 동물인 우리 인간에게 본질적으로 행복을 높여주는 일이라는 것이다. 남을 도움으로서 ‘자존감’이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수렵‘채취’인이었다는 말이다. 즉 곡물이 주식이 되기 이전에도 식물의 알줄기,
뿌리
줄기, 덩이줄기에 저장된 탄수화물(녹말)을 많이 먹었다. 게놈에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사람의 게놈을 보면 녹말을 소화하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5~7개인 반면 침팬지는 2개에 불과하다. 열매나 잎에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거래를 양성화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거라는 얘기다. 상아 거래는 코끼리 밀렵을
뿌리
뽑기 위해 지난 1989년 이래 금지된 상태다. 그럼에도 상아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은 사라지지 않았고 밀렵으로 구한 상아가 밀거래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얼마 전 TV 외신에서 압수한 엄청난 양의 상아를 ... ...
여름 보양식의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8.18
이 밖에도 무더운 여름철에는 갈증을 많이 느끼므로 이때에는 칡
뿌리
를 달여 만든 칡
뿌리
차나 오미자, 인삼, 맥문동을 함께 넣어 달여 만든 오미자차와 오미자화채를 즐겼다. 또한 갈증 해소에 도움이 되는 청량음료로는 오매육(매실) 등으로 만든 제호탕을 즐겼다. '시절약'이라고 할 수 있는 ... ...
여성의 입장으로 과학을 전달하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다하기 위해서는 남성들의 가사 분담이 절대적이라 설명했다. 그러기 위해선 지금까지
뿌리
박혀 있는 잘못된 조직문화를 바꿔나가는 노력을 함께 해야 함을 강조했다. 어차피 세상은 어느 성 하나만 살아갈 수 없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단점이 아닌 장점으로 인정하고 함께 노력한다면 과학으로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
IBS
l
2016.07.05
수 없기 때문에 훨씬 다양한 형태, 유연한 형태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풀
뿌리
연구에 대한 지원이 보장될 수 있도록 연구 보조금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3번째 연사로 나선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김성근 학장(좌)은 한국 대학에서의 기초과학 환경이 개선되어야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더 무성했다. 반면 영양공급이 풍부할 때는 위험회피 전략을 써 영양 공급이 일정한 쪽의
뿌리
가 더 무성했다. 연구자들은 뇌도 신경계도 없는 식물이 어떻게 이런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는지 그 메커니즘까지는 설명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식물이 겉보기처럼 그렇게 정적인 존재는 아니라는 생각이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
2016.06.21
‘우월감’에의 욕구가 큰 경향을 보인다. 바꿔 말하면 자존감은 높을지언정 그
뿌리
와 충족되는 방법이 ‘건강하지 않은 자존감’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실제로 많은 경우 자존감이 ‘낮은’ 사람보다 나르시시스트처럼 자기지각의 내용이 비현실적이고 ‘우월감’을 채우려고 힘쓰는 사람들이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있다. 천마총을 비롯해 거대한 고분 20여 기가 있는 대릉원에 와서는 책에서 ‘우리의
뿌리
이자 원형의 다른 이름-대릉원에서’라는 에세이를 읽은 뒤 둘러보는 식으로 이곳저곳을 다녔다. 특히 분황사와 황룡사지가 인상적이었다. 사진으로만 봤던 분황사 모전석탑은 생각보다 규모가 커서 좀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먹을 때에 비해 씹는 횟수가 13% 줄어들고 들어가는 힘은 15%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뿌리
채소를 으깨 먹고 고기를 썰어 먹을 경우 씹는 횟수가 17% 줄어들고 들어가는 힘은 26% 줄게 된다. 또 삼킬 때 고기 조각이 41%나 더 작아 소화효율이 더 높을 것으로 추정했다. 즉 육식의 도입과 도구(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