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스페셜
"
모양
"(으)로 총 73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르테미스 달탐사 선발대로 나서는 우주비행 베테랑 '스누피'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세계 첫 민간 유인 우주비행에 성공한 ‘크루 드래건’의 시험비행에는 지구
모양
인형을 활용했고, 첫 유인 우주비행에서는 우주비행사 더그 헐리와 밥 벵컨의 아들들이 선정한 반짝이를 단 아파토사우르스 인형 ‘트레모’를 태웠다. 이후 첫 상업 임무에서는 스타워즈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받은 업적 '광전효과'
2021.11.11
킬로그램(kg)도 새롭게 정의되었다. 그때까지 1kg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원기둥
모양
의 금속덩어리(kg원기)의 질량이다. 플랑크 상수가 이리도 작고도 복잡한 숫자인 이유는 그 단위인 줄과 초가 인간과 같은 거시세계에 적합한 단위이기 때문이다. 플랑크 상수는 거시세계와 미시세계를 가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38억년 전 화성, 홍수 흔적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1.07
이 영상들을 분석해, 이곳이 약 38억~36억 년 전 강물이 흘러들면서 만들어진 비스듬한
모양
의 삼각주라고 추정했다. 퍼서비어런스는 이곳에서 암석을 채취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흙과 암석 시료를 수집하는 데 성공했다. 국제연구팀은 이 암석들을 2030년대 지구로 가져와 정밀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모사한 나노입자 및 아데노바이러스 입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벌집
모양
은 93%, 쐐기
모양
은 96%까지 입자를 가뒀다. 사람의 손이 표면에 닿았을 때 접촉할 확률이 거의 없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질병관리청의 승인을 받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로 추가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실험에 ... ...
재미 한국과학자 코로나19 검사 결과 5분 만에 얻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말단은 탄소나노튜브에 결합하고, 친수성 말단은 탄소나노튜브에서 먼 방향으로 고리
모양
을 형성한다. 이 친수성 말단들이 모여 이룬 구조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뉴클레오캡시드와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식한다. 탄소나노튜브가 바이러스 단백질을 인식하면 근적외선을 조사했을 때 강한 ... ...
[표지로 읽는 과학]6배 강하고 잘 휘는 2차원 목재 소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4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구부릴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활용해 벌집 구조로 목재를 접은
모양
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렇게 만든 목재는 기존 목재보다도 강도가 6배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 교수는 “급속한 물 충격 과정이 세포벽을 주름지고 부분적으로 열리게 만들어 압축을 비롯한 큰 ... ...
코로나19 확진자의 위증중 여부 예측하는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0.21
2019년 연구팀은 이 시스템과 연관된 단백질을 발견했다. 세포 표면에 만들어진 꽃
모양
의 단백질은 이 세포가 정상적이라는 것을 주변 세포에 알리거나, 반대로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리는 역할을 했다. 세포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정보가 전달되면 제거 시스템이 작동했다. 연구팀은 이 ... ...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애용자 미군도 탐낸다는 초저궤도 위성
2021.10.15
있는 초저궤도 위성은 비행기처럼 앞이 뾰족하고 후미에 날개가 있거나 얇은 접시
모양
을 하고 있다. 모두 중력과 대기 부유물질이 위성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디자인이다.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초저궤도 위성의 상황을 고려해 제안된 디자인 개념도. 출처 earthobservant.com ※ ... ...
블랙홀이 뱉은 제트가 가던 길 멈춘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영역을 뚫어낸 것이다. 그러나 열점이 사라지고, 그 외 제트가 발하던 빛의 영역 역시
모양
이 일그러졌다. 와지마 책임연구원은 “이 천체의 기이한 성장 과정을 자세히 관측함으로써 활동성은하핵과 제트의 신비로운 형성과정을 풀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기태 천문연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노벨위원회는 mRNA의 학문적 가치에 대한 평가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
모양
이다. 올해 노벨 과학상의 수상 업적은 여러 면에서 뜻밖이다. 생리의학상은 촉각‧통증 수용체를 발견한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아뎀 파타푸티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