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당대
시대
그때
그당시
연대
세상
스페셜
"
당시
"(으)로 총 2,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 강남 도심 한복판에 과학기술 지식교류의 장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지상 13층, 지하 4층 2만 7443㎡ 1995년 준공됐다. 회관의 규모가 늘어나고 동시에 창립
당시
83개 회원단체를 가졌던 과총의 회원 규모도 603개로 커지면서 증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2013년 사이언스플라자 건립사업이 초기 낡은 별관만 철거하고 본관에 연결하는 수평 증축 형태로 추진됐으나 ... ...
국내서 원숭이두창 첫 확진자 나왔다
2022.06.22
치료와 검사를 받고 있다. A씨는 입국 전인 이달 18일부터 두통 증상이 있었고, 입국
당시
원숭이두창 증상과 유사한 37도의 미열과 함께 인후통, 무력증(허약감), 피로 등 전신증상과 피부병변을 보였다. 질병청은 A씨가 PCR검사에 이어 이날 유전자염기서열 분석에서도 확진된 것으로 최종 판명이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발사
당시
페어링이 분리 안 돼 실패한 경험 등이 큰 교훈으로 남아있다”며 “최대한
당시
의 시행착오를 반영해서 설계했다”고 말했다. 2012년까지만 해도 한국은 우주발사체를 한 번도 개발한 적이 없는 나라였다. 연구용 관측로켓이었던 과학로켓(KSR) 시리즈를 발사한 경험이 전부였다. 2005년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안착 시킬 수 있는 시속 2만7000km까지 속도가 높아지는 단계다. 지난해 10월 1차 발사
당시
에는 산화제탱크 내 헬륨탱크가 분리되면서 산화제가 누설되는 바람에 521초를 채우지 못하고 475초 만에 연소가 조기 종료됐다. 3단 로켓은 이번에도 목표 연소시간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륙 후 89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성공적으로 이뤄졌지만 위성모사체가 목표 고도에 도달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당시
3단의 7t급 엔진의 연소시간이 목표했던 521초보다 46초 부족한 것이 문제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우연은 지난해 12월 누리호 발사조사위원회를 통해 “3단 산화제 탱크 내부에 장착된 헬륨 탱크의 고정 ... ...
[누리호 2차 발사]성공을 위한 결정적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안착시킬 수 있는 시속 2만7000km까지 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1차 발사
당시
에는 산화제탱크 내 헬륨탱크가 분리되면서 산화제가 누설되는 바람에 521초를 채우지 못하고 475초 만에 연소가 조기 종료됐다. 목표 고도에 목표 속도로 도달했는지는 연소 종료 5초 후 3단의 궤도 정보를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안쪽을 도는 토성이 태양으로부터 약 9.5 AU 거리에 있음을 생각하면, 천왕성의 발견으로
당시
인류가 인지하고 있던 태양계의 너비가 두 배 이상 넓어진 셈이다.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천왕성을 방문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가 발사된 1957년을 우주 탐사의 ... ...
별 데이터와 인공지능 합친 점성술은 과학일까
2022.06.18
내 사주를 처음으로 봐준 건 컴퓨터 프로그램이었다. 그때가 1990년쯤이었는데,
당시
컴퓨터 학원에 있던 16비트 컴퓨터로 돌릴 수 있는 사주팔자 프로그램이 있었다. 생년월일을 입력한 뒤 ‘찍찍-’ 하는 소리가 크게 울려 퍼지는 프린터로 사주팔자 출력본을 기다리던 기억이 난다. 첨단 ... ...
"사망자수 더 줄고 유행전망 더 떨어져야 전환 가능해" 감염자 7일 격리의무 연장 배경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이들 지표를 기준으로 해서 어느 정도의 일정 범위에 들어오게 됐을 때 그
당시
상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를 해서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대본은 이와 별도로 요양병원과 시설에서의 일상회복 폭을 계속 넓히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 ...
누리호 23일까지 발사 가능할까...과거 발사연기 때는 어땠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앞둔 25일 발사됐다. 그러나 위성덮개 페어링 한쪽이 열리지 않으며 발사에 실패했다.
당시
진공상태에서 사용하는 전선이 아닌 일반전선을 사용한 것이 실패 원인으로 드러났다. 나로호는 2010년 6월 9일 2차 발사 때도 예정시각을 3시간 앞두고 연기됐다. 발사 당일 주변 소방 설비에서 소화 용액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