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스페셜
"
계속
"(으)로 총 274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좋아하던 학생에서 게임 만드는 박사로
KAIST
l
2014.05.14
얻는 이득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 한다. 자신의 생활에 도움이 된다면
계속
하고, 오히려 생활이 게임에 끌려간다면 당장 중단해야 한다. 잘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본 콘텐츠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있다. 이는 세계에서 최초로 한국의 연구자가 개발한 독자적인 암호체계로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다. 물리학의 최전선인 양자장 이론에서도 매듭론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용범위가 넓은 만큼 매듭이론은 현대 수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수학계의 노벨상'인 필즈상 수상자가 ... ...
IBS 미녀들의 수다
IBS
l
2014.05.14
체류한 지도 이미 2년 정도 됐으며 IBS에는 4개월가량 근무하고 있다. 한국을 매우 좋아해
계속
지내고 싶다는 켈리 씨는 단순 통‧번역보다는 전문 리포터나 에디터의 꿈을 꾸고 있다. "한국에는 새로운 변화와 도전을 위해 왔습니다. 그동안의 일을 돌이켜보면 어느 정도 만족스럽다고 할 수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잘 알려진다. 더구나 에디슨은 주위의 어른들을 붙잡고 납득할 수 있는 답을 얻을 때까지
계속
‘왜?’라는 질문을 연발하는 골칫덩이였다. 어른들에게는 골칫거리이지만 만족할만한 답을 얻지 못해 의문이 풀리지 않을 경우 에디슨은 스스로 답을 찾기 위해 곧바로 직접 실험해보는 끈질긴 집념을 ... ...
[MATH] 무한수열의 조합, 바둑
KISTI
l
2014.04.25
하면 되고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면 자기도 쿠폰을 가져오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끝내기를 하다 보면 결국 쿠폰을 보두 가져가게 되고 바둑도 끝나게 된다. 바둑이 모두 끝난 후에 각자의 집과 보유한 쿠폰의 점수를 합해서 흑백이 서로 몇 집 차이인지를 확인한다. 이처럼 많은 수학자와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어떻게 할까 고민만
계속
한다 경고음이 울려도 탈출해야 할지, 그냥 있어야 할지 고민을
계속
하다가 탈출 시기를 놓칠 수 있는 유형이다. 복잡한 시스템 속에서 정보가 부족할 때 많은 사람들이 이 유형의 기질을 보인다. 하지만 관리자가 상황을 정확하게 알리고 안내한다면 적절하게 대처할 수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수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한국처럼 수요가 있는 한 타이지의 무분별한 포획은
계속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생태관광으로 전환해야 수족관을 운영하는 측은 돌고래를 보호하면서 교육ㆍ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항변한다. 그러나 다수의 생태 전문가들은 “디즈니랜드의 미키 ... ...
변비, 제대로 알고 극복하자!
KISTI
l
2014.03.31
분해되지 않고 대장의 근육 신경을 자극해 배변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효과는 빠르지만
계속
해서 먹을 경우 대장 내 수분이 손실되고 장운동이 둔해지는 무력증이 생겨 오히려 만성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팽창성은 약에 포함된 식이 섬유가 부풀면서 변의 부피를 늘린다. 커진 변은 장벽을 벽을 ... ...
[MATH] 트로이 전쟁과 원주율
KISTI
l
2014.03.19
이 비율은 3.1416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원주율 π는 3.1415926535로 시작하여 끝없이
계속
되는 무리수이다. π는 원이나 구에서 찾을 수 있는 특별한 값으로 그리스 최고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원과 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원과 구, 이것들만큼 신성한 것에 어울리는 형태는 ... ...
[만화] 곤충이 미래의 식량?!
KISTI
l
2014.03.14
미래 식량으로 제안한 건 맛 때문이 아니라 식량난 때문이야. 지금 같은 추세로 인구가
계속
증가한다면 2050년 세계 인구는 현재의 70억 명을 넘어 90억 명이나 될 것으로 예상된단다. 지금도 전체 인류의 6분의 1이 굶주리고 있는데 20억 명이나 늘어나면 훨씬 상황이 심각해지겠지? 그렇다고 경작지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