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하지만 둘 사이에는 여러 차이점이 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마이크로RNA는 세포의
DNA
설계도 상에 존재하고 있는 마이크로RNA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며 세포 내의 mRNA를 조절 표적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또한 mRNA와 20nt 이상 결합해야 하는 siRNA와 다르게 마이크로RNA는 단 6-7nt의 결합만으로도 mRNA의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지난 6월 공개한 알파폴드3는 범위를 더 확장해 항체-항원 상호작용, 유전물질인 RNA와
DNA
, 이온 등 다른 분자와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도 예측할 수 있다. 단백질을 넘어 광범위한 생체 분자 유형에 대해 결합 구조를 알아낼 수 있게 된 것이다. 노벨위원회는 "생명의 화학적 구성 요소인 20가지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제공 주황색 화살표는 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낸다.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나 리간드,
DNA
정보 등을 입력하면 유사한 단백질 구조와, 단백질 유전정보 데이터, 그리고 단백질 내 원자의 연결관계 데이터(컨포머)를 탐색한다. 탐색한 정보를 '정보입력'단에서 통합한다. 파란색 화살표는 실제로 ... ...
[노벨상 2024] 'AI 생화학 무기' 나올까…화학상 수상 베이커 교수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오용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는 연구를 삼간다’, ‘위험한 생체분자를 제조하기 전
DNA
합성 스크리닝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 개발을 한다' 등 AI 바이오 연구로 인한 위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조항들이 포함돼 있다. AI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설계는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고 새로운 ... ...
[사이언스영상]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이유
SEIZE
l
2024.10.08
저장된 유전 정보는 모두
DNA
에 저장돼 있다.
DNA
는 암호화된 데이터라 이 정보를 쓰려면
DNA
정보를 mRNA(메신저 RNA)라는 형태로 바꾼 다음 이 mRNA 정보를 읽어서 단백질을 만들어내야 한다.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활약하며 특정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전체 과정에서 마이크로RNA는 mRNA에 붙어 ... ...
[노벨상 2024] 암·신경질환 열쇠 'miRNA' 발견 앰브로스·러브컨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이유를 밝혔다. 마이크로RNA가 생기는 과정(왼쪽). 마이크로RNA도 다른 RNA와 마찬가지로
DNA
에서 만들어진다(➊). 마이크로RNA는 드로셔에 잘려(➋) '머리핀'을 닮은 구조만 남은 채 핵에서 빠져나온다(➌). 다이서에 잘린 마이크로RNA는 단백질과 복합체를 이뤄(➍) 특정 mRNA에 붙을 수 있다. 그러면 mRNA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균의 바이러스 방어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세균이 역전사를 이용해 RNA를 종단 간 반복성
DNA
로 복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복성
DNA
는 유전자를 재구성해 독성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반복성 RNA로 전사될 수 있다. 세균은 이러한 유전자 합성 능력을 활용해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심각한 독성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다. 이번 두 ... ...
세포 노화·사멸 핵심 '텔로미어'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이 서열이 단순히 염색체 말단을 보호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유전체 내부에 발생한
DNA
손상을 치료하는 능력도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최초로 ALT 세포의 유전체 지도를 완성하고 독특한 특징을 규명했다"며 "이를 통해 텔로미어 위기를 극복한 세포의 ... ...
"뇌 신경 데이터,
DNA
·지문과 같아"…美 캘리포니아주, 개인정보보호법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뉴로테크 기업이 수집하는 인간의 신경 데이터도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얼굴·
DNA
·지문과 같은 수준의 '민감 정보'로 분류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에서 개인 민감 정보에 '신경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는 캘리포니아 소비자 개인정보 ... ...
거울 대칭 분자로 '탈취 불가' 광통신 암호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카이랄 특성이 있는 단백질이나 유전물질인
DNA
등 바이오 분자를 나노입자 결정면에 이식했다. 나노입자의 합성 과정에 사용되는 바이오 분자의 서열 정보가 없으면 광학적 성질을 모사할 수 없다. 특정 물질이 통신에서 마치 지문이나 복제 불가능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