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감각
인식
분별
지반
관찰
주시
뉴스
"
지각
"(으)로 총 58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평범한 과학자이지만, 사회적으로 과학자가 공익을 위해 해야할 일에 대해 명확히
지각
하고 있는 보통과학자다. 재현성위기를 다룬 책 《사후경직》의 저자이자 의학 저널리스트인 리처드 해리스는 “의학의 발전 속도를 끌어올리려면 생명의학연구는 오히려 속도를 늦춰야 한다. 즉 진행하는 ... ...
길이 12m 우주쓰레기 4일 밤 달에 충돌...中 로켓 잔해 추정되나 확인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달리 대기가 없어 소행성이나 운석의 충돌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풍화작용이나
지각
활동이 없어 한번 생긴 충돌구는 사라지지 않고 계속 존재한다. 조너선 맥도웰 미국 하버드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연구원은 “무엇이든 달에 또 다른 작은 충돌구를 만드는 결과는 달라질 것이 없다"고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끊임없이 분출됐다. 이 틈이 지금의 대서양 중앙해령이다. 분출된 용암이 만든 해양
지각
은 대서양의 바닥이 됐다. 화산 폭발은 새로운 생명의 터전을 만들었지만, 이전에 있던 생명에겐 치명적이었다. 번성했던 수궁류와 파충류, 양서류 등이 멸종했고 해양생태계도 또 한번 파괴돼 해양생물의 81 ... ...
북 핵실험장 인근 함북 길주군서 나흘간 네 차례 지진…백두산 분화 영향 미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연구팀은 해남 지역에 일어났던 지진이 동일본 대지진 효과가 해소되는 과정 중 하부
지각
에 쌓인 응력이 해소되며 발생한 지진으로 해석해 연구결과를 2020년 9월 국제학술지 ‘행성 및 지구내부 물리학’에 발표했다. 지진의 규모가 크지 않으나 지진 발생지점에서 약 130km 떨어진 백두산에 어떤 ... ...
AI로 숲속 새소리 구별한다…구글, 뉴럴 네트워크 개발
연합뉴스
l
2022.01.28
그러면서 앞으로 이 모델을 수중 생체음향을 파악해 수중 생태계를 이해하거나 소리로
지각
활동을 탐지해 지진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
지구의 핵, 과학자들 예상보다 빠르게 식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동위원소가 붕괴하면서 열을 낸다. 그 결과 맨틀이 대류하고 지표면에서는 지진, 화산 등
지각
운동이 일어난다. 연구팀은 다이아몬드와 레이저로 지구 내부의 맨틀과 핵의 경계면에 유사한 2200도의 고온과 80기가파스칼(GPa)의 고압 환경을 조성하고 여기에 맨틀 속 광물과 유사한 인공광물을 ... ...
통가 화산 폭발이 남긴 과학의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발생하는 보통의 쓰나미와는 전혀 다른 양상의 쓰나미라고 보고 있다. 쓰나미의 80%는
지각
운동으로 지진이 일어나 바닷물 전체가 상하로 출렁이면서 발생한다. 화산 폭발로 산사태가 나면서 연쇄적으로 해일이 일어나는 사례가 10%를 차지한다. 하지만 이번 쓰나미는 화산 폭발 당시 태풍처럼 ... ...
글을 쓰고 타인에게 귀기울이는 노년의 삶, 노화를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4
심리학과 연구팀이 2012년 ‘한국심리학회지’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은
지각
등 인지능력이 나이가 들면서 급감하지만 어휘력과 언어능력은 약간 감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를 먹으면서 오히려 발전한다는 서구 사회의 사례와 차이가 나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사회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메탄이 이렇게 문제일 줄이야
2022.01.12
활약한 결과다. 메탄은 물에 잘 안 녹고 이산화탄소보다 확산이 쉬운 기체다. 따라서
지각
틈새를 통해 대기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생성된 메탄의 3분의 1이 배출된다면 양으로는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5% 수준이지만 CO2e로 환산하면 GWP100에서는 125%이고 GWP20에서는 4.3배나 된다. ... ...
하버드 의대 연구진 "탄저균 독소의 통증 차단 효과 확인"
연합뉴스
l
2021.12.21
탄저균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는 의미다. 통증의 차단은, 배근 신경절의
지각
뉴런이 탄저균이 생성하는 2종의 단백질과 결합할 때 이뤄졌다. 배근 신경절은 통증 신호를 척수에 중계하는 신경 조직이다. 탄저균이 만드는 단백질 중 하나인 '방어 항원(PA)'이 신경세포 수용체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