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기통신"(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1.31
- 과기정통부 제공. 인간처럼 촉각을 느끼고 상처 치유가 가능한 대면적 로봇 피부 기술을 개발한 김정 KAIST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 교수를 2월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 ... ...
- [과기원NOW] 땀·털·각질 영향 덜 받는 ‘웨어러블 로봇’ 등장 外동아사이언스 l2024.01.24
- (A)고품질 전기생리신호 측정이 가능한 신축·접착성 마이크로니들 센서 개념도, (B)피부의 신축에 따라 동적으로 순응하는 신축·접착성 마이크로니들 센서, (C)신축·접착성 마이크로니들 센서 사진. KAIST 제공.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김정은 기계공학과 교수 연 ... ...
- 국방 분야 양자 원천기술 확보한다…국방양자센터 개소동아사이언스 l2024.01.23
- 원격관측 한계돌파 양자 수신기 모식도. 국방양자센터는 mmW/THz(밀리미터파/테라헤르츠파) 전기장 초고감도 양자 수신기의 최적화 기반 기술과 이미징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개발 완료 시 양자레이더 및 광대역 안테나에 적용할 수 있다. 표준연 제공. 고전 국방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 ... ...
- R&D 빠진 바이오파운드리…과학자들 "합성생물학 특성 이해못해 아쉬워"동아사이언스 l2024.01.18
- 16일 1263억원 규모의 바이오파운드리 구축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3대 전략기술 중 하나로 첨단바이오를 꼽은 가운데 바이오 연구 역량을 주도할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사업에 과학계가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당초 계획보다 예산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는데 이 ...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찾아가는 과학기술 정책·사업설명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1.17
- 대한변리사회 새해인사회에 참석해 인사하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과기정통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8일부터 5주간 수도권, 강원, 충청, 호남, 영남 등 전국 5대 권역에서 '2024년 찾아가는 과학기술 R&D 정책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18일 충북대를 시작으로 26일 부 ... ...
- 건설연, 태평양지진센터와 손잡고 대형 지진 대비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24.01.17
- 있는 다기관 연구조직이다. 구조 및 지반, 지질·지진, SOC, 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전기통신선로 등 선형 도시기반시설 네트워크 연결망, 공공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능기반 지진공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건설연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건물의 약 97%는 5층 이하 민간 중소규모 ... ...
- 잦은 비디오 게임, 청력손실·이명 위험 높여동아사이언스 l2024.01.17
- 몇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소음에 노출된다는 점에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의하는 허용 소음 노출 수준은 80dB(데시벨) 기준 주당 40시간 이하다. 83dB 기준으로는 주당 20시간, 86dB은 10시간 이하다. 98dB로 올라가면 38분 노출이 허용 가능 범위다. ... ...
-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OLED 효율 장점 갖춰동아사이언스 l2024.01.16
-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해 만든 태양전지의 모습. 위키 미디어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발광 소재를 결합한 고효율 장수명 하이브리드 탠덤 발광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태우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와 유 ... ...
- UAE와의 원전 협력 위한 KAIST-칼리파 공동연구센터 문닫아동아사이언스 l2024.01.15
- 2019년 열린 ‘KAIST-KU 공동연구센터’개소식에서 아랍에미리트(UAE) 칼리파대학(KU)과 KAIST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식을 하고 있다. KAIST 제공 중동과의 과학 교류 구심점인 KAIST-칼리파대 공동연구센터가 1월 문을 닫은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R&D 예산 삭감이 아무래도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 ...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국제 자율주행제어 챌린지 은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4.01.12
- 챌린지 시상식에서의 ETRI 연구진. 강동엽 책임연구원, 최정현 선임연구원, 진용식 연구원(왼쪽부터). ETRI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ETRI 로봇·모빌리티연구실 연구팀이 2023년 말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제어시스템 분야 국제 학술대회 '2023 IEEE 판단 및 제어 학술대회(CDC IEEE)의 자율주행 제어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