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거리"(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지난달 TV를 보다 걱정스런 뉴스를 접했다. 서해의 한 작은 섬 얘기인데 바닷가가 쓰레기로 덮여 주민들이 골치라는 얘기다. 물론 섬 주민들이 버린 쓰레기는 아니고 해류를 따라 중국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 화면을 보니 대부분 플라스틱이다. 사실 해양 쓰레기가 어제 오늘 얘기는 아니다. 매년 1200 ... ...
- [기자의 눈] 황우석 사태를 덮을 만한 박기영 본부장의 ‘공’은 무엇일까동아사이언스 l2017.08.11
- 2016년 12월 9일, 국회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의결됐다. 주말이면 거리로 나와 바른 정치를 외친 국민의 목소리가 반영된 결과다. 그리고 3월 10일 탄핵이 결정됐다. 민주적 절차에 의해 대통령을 탄핵했고, 새로운 대통령을 뽑았다. 신임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정부와 선 ...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과학동아 l2017.07.27
- 당신의 스마트폰이 의사가 된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장치와 센서를 활용하면 따로 측정기를 달지 않아도 간편하게 질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앱)과 숨은 과학적 원리를 소개한다. GIB, 과학동아 제공 카메라 ● ... ...
-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07.26
- ● 1분 요약 백신의 안전성을 의심하면서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 부모들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일부의 걱정만은 아니다. 질병관리본부의 설문조사 결과 부모 3명 중 1명이 예방접종 무용론을 접한 경험이 있고, 이 중 47%가 관련 정보로 백신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백신 불신은 MMR 백 ...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 죽이는 3가지 방법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Pixabay 제공 완보동물이라고도 하는 물곰은 크기가 1㎜도 채 안 되지만 어떤 극한 환경도 견딜 수 있는 최고의 생명력을 자랑한다. 우주 최강 생명체로 꼽히는 ‘물곰’을 죽이려면 지구에 어떤 일이 벌어져야 할까. 국제 공동 연구진은 사실상 물곰을 포함한 지구의 생명체를 몰살시킬 천체물리학 ... ...
- 미국 데스밸리의 화려한 밤풍경팝뉴스 l2017.06.24
- 팝뉴스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 마리포사에 사는 마이클 프라이는 예술 사진, 자연 사진 그리고 풍경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사진작가이며, 책을 낸 저자이고 블로거이며 사진 강사이기도 하다. 위는 그가 현지 시간 19일 페이스북에 공개한 사진이다. 여섯장의 사진을 이어붙여 만든 파노라마의 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7.06.06
- “넌 누구니?” 어린 왕자가 말했다. “너는 정말 예쁘구나...” “나는 여우야.” 여우가 말했다. “이리 와서 나랑 놀래?” 어린 왕자가 제안했다. “나는 많이 슬프거든...” “난 너와 놀 수 없단다.” 여우가 말했다. “나는 길들여지지 않았거든.” (중략) 여우는 조용히 오랫동안 어린 왕자를 쳐 ... ...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05.21
- 우주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지구 생명체는 어디에서 왔을까. 지금 이 순간에도 이 비밀을 풀 열쇠들이 당신의 머리 위로 쏟아져 내리고 있다. 바로 우주먼지다. 우주먼지를 왜 찾는지, 어떻게 찾는지 알면 당신도 우주먼지 헌터가 될 수 있다. ● 1분 요약 지구에는 연간 약 1만4000t의 우주먼지가 ... ...
- 목성과 함께한 선남선녀의 데이트, ‘청춘별파티’를 아시나요?과학동아천문대 l2017.05.17
- #따뜻한 봄날, 청춘남녀와 함께 삶과 별을 이야기하다 - 과학동아천문대 청춘별파티 지난달 26일 용산 과학동아천문대에 청춘 남녀들이 모여 별을 이야기하며 삶의 힐링을 얻었다. 김영진 과학동아천문대장과 ‘썸타는 천문대’, ‘하루종일 우주생각’의 저자 지웅배 작가가 함께 하는 ‘청춘별 ... ...
- 북한 핵실험 여부,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5.16
- 동아일보DB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십~수백㎞ 떨어진 곳의 방사능 물질을 탐지하는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후쿠시마와 같은 원자력발전소 사고 현장이나 미신고 핵실험 활동 등을 실시간 탐지할 수 있다. 최은미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고출력 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