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뉴스
"
유리
"(으)로 총 1,814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료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 소재를 많이 갖고 있어야
유리
하다." Q.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지. (김) "식품은 의약품과 달라서 의사가 용량제한을 할 수 없고 사고에 민감하다. 국가·지역마다 허가 기준이 다르다. 대체단백질 기술 규제 마련과 승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재배 환경 역시 물이 부족한 때가 많아 결국 잎이 잘 말려 가뭄을 견디는 개체가 생존에
유리
했을 것이고 그 결과 기동세포에서 비늘이 9개 이상인 비율이 높아진 것이다. 한편 이어지는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기온이 내려가며 양쯔강 하류 지역의 야생 벼 재배가 크게 줄었고 기후변화가 선택압으로 ... ...
단단하면서도 길이 5배까지 늘어나는 '
유리
성 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원료를 다른 시설로 운반하고 녹여서 제품으로 성형해야 한다"며 "
유리
성 젤은 3D프린팅으로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극지연구소, LG전자와 극지역 환경보호 나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LG전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항균 기능성
유리
소재와 수용성
유리
소재를 제공하고 극지연구소는 극지 현장에서 해당 소재의 성능을 시험하고 연구개발하는 역할을 맡는다. LG전자 소재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인 물질이면서 분말·구슬 ... ...
최강 우주발사체 스페이스X '스타십' 비행 성공은 '스뎅'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등 로켓 일부가 손상됐다. 스테인리스강의 높은 녹는점은 어마어마한 마찰열을 견디기
유리
하다. 녹는점이 1400℃에서 1500℃ 이상이다. 알루미늄강의 녹는점은 대략 700℃ 내외이다. 탄소 섬유는 금속처럼 특정 온도에서 녹지는 않지만, 일정온도를 넘어가면 수지가 파괴된다. 과거 머스크는 한 언론 ... ...
[표지로 읽는 과학] 2D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높이는 새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결합한 특징적인 입체 구조를 가졌다. 이러한 구조는 태양광을 전기로 만드는 데
유리
하다. 저렴하고 낮은 온도에서도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기 쉽기 때문에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다. 문제는 태양전지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저해하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는 것이다. ... ...
접착제로도 쓰는 만능 '유기물
유리
'…물만 있으면 자가치유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것만으로 렌즈의 곡률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펩타이드
유리
는 기계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며 "재료공학, 광학 및 전자광학 제조 분야, 접착제와 렌즈 제조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높은 질량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더 강한 빛을 낸다. 우주의 팽창률을 계산하는 데 더
유리
하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초기 우주에서 별의 형성과 초신성 폭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전력이 1000분의 1 정도로 감소했다. 크기는 10배 이상 작아져 안정성이나 속도 측면에서도
유리
해졌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지난해 2월 3차원 스커미온 트랜지스터를 개발한 지 1년 만에 2차원 환경에서도 스커미온 생성·제어에 성공했다. 2차원 스커미온의 상온 발현 기술은 최근 미국과 중국에서도 ... ...
극지 생물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단백질들이 한곳에 모여있지 않고 넓게 퍼져 있을수록 세포가 어는 현상을 막는 데
유리
하다는 말이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부동 단백질 사이의 거리가 기존 이론보다 몸을 얼지 않게 하는 데 훨씬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 단백질의 원리는 제조, 의료, 식품 분야에 쓰인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