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48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전쟁이나 재난으로 식량위기가 오면 밖에서 가축을 기르거나 농사를 짓기 어려울 텐데
연구실
이나 집약시설에서 만들 수 있는 미생물 단백질 원천기술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단은 대체육과 천연 미생물 식품원료, 식품첨가물 등 식품신소재 원천기술 개발과 안전성 평가기반 구축이 ... ...
"출연연 통폐합 고려 안해…2년 주기 평가는 절대평가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기존 ‘국가기술연구센터(NTC)’ 대신 국가 임무 중심의 개방형 협력체계인 '국가과학기술
연구실
(NSTL)'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NTC가 출연연 통폐합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이 차관은 "출연연의 협업, 교류, 소통을 도모하기 위해 NSTL을 도입한다"면서 "NTC 명칭에 센터(center)라는 의미가 ... ...
출연연 평가 주기 3년에서 2년으로…공동출입증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국가기술연구센터(NTC)’ 대신 국가 임무 중심의 개방형 협력체계인 '국가과학기술
연구실
(NSTL)'이 도입된다. 26일 과기정통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1회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의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의 R&D 생태계 역동성 및 지식 유동성 활성화 추진 방안'을 심의하고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방식 외에도 구현이 가능하다.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원(SAINT) 이온포획 양자공학
연구실
에서는 전하를 띤 입자인 이온을 전자기장으로 붙잡아 이를 하나의 큐비트로 활용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위지원 SAINT 연구원은 "현재 초전도 방식으로 구현한 큐비트는 개수가 많지만 인접한 큐비트끼리만 ... ...
[과기원NOW] GIST 기계공학부 학생 4명, 육해공 무인이동체 챌린지 최우수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계공학부 데이터 기반 시뮬레이션 및 설계
연구실
학생들로 구성된 ‘지스트래커’팀이 ‘제1회 육해공 무인 이동체 챌린지’ 지정공모 I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지스트래커 팀은 고성능 팬틸트줌(PTZ) 카메라를 활용한 추적 제어 ... ...
이공계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 재원 확보 '삐거덕'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는 "관련 산업의 규모가 작아 연구비 수급이 쉽지 않은 처지의
연구실
을 돕기 위한 취지도 이해하지만, 제도가 적용되는 과정에서 자칫 교수들 간의 갈등이 조장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과기정통부는 예산 배분 조정안이 국회에 넘어가기 전까지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 ... ...
입으면 땀에서 '포도당 수치' 감지하는 웨어러블 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기대된다. KAIST는 박인규 기계공학과 교수와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나노공정장비
연구실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전기방사 섬유에 금속 및 금속산화물 기반 나노구조체를 전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과학자들은 1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이하의 크기에서 물성을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⑥ "장기 연구하려면 육아휴직 꼭 써봐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육아휴직자였을 것 같다. "맞다. 연구단에 40~50명이 있는데 첫 남성 육아휴직자다. 다른
연구실
과 마찬가지로 행정직 외에는 대부분 계약직 신분이라 육아휴직을 쓰기는 쉽지 않다. 연구단 내 여러 명과 함께 팀으로 일하고 있었으면 육아휴직을 쓰기 어려웠을 것 같다. 동료 한 명과 긴밀하게 ... ...
[푸드테크 뜬다]② "먹거리 수요 50년만에 두배…기존 방식으론 공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등이 메뉴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개인 맞춤형 식단을 짤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연구실
은 서울대병원 환자 대상으로 설계한 플랫폼을 실증하고 있다. AI 기반 파이토슈티컬은 식물 유래 맞춤형 건강기능성 소재인 건강기능식품을 만드는 기술이다. 가령 약콩을 가지고 식단을 설계할 수도 ... ...
이종호 장관, 이공계 대학원생들과 장학금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25대 1의 경쟁률을 뚫은 1기 장학생 선발이 완료됐다. 이공계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은
연구실
연구개발(R&D) 과제 수주 상황에 따라 학생 연구자들의 인건비가 불안정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국가 R&D에 참여하는 이공계 전일제 대학원생에게 매월 일정 금액을 보장하는 제도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