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물 전달한 뒤 사르르 녹는 얼음 미세침
과학동아
l
2021.06.03
수크로스를 결합한 동결보호제를 첨가했다. 얼린 미세침을 꺼내 상온(24℃)에서
손가락
끝에 놓자 60초 안에 뾰족한 끝 부분이 녹았다. 연구팀은 성능 시험을 위해 골수에서 추출한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로 만든 흑색종 예방 백신을 미세침으로 만들어 쥐에게 접종했다. 그 뒤 쥐에게 흑색종 종양을 ... ...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
과학동아
l
2021.06.02
로봇손은 물건 모두를 손쉽고 안정적으로 잡았을 뿐만 아니라, 형태와 물성에 따라 집게
손가락
만을 이용하거나 손바닥을 지지대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구현했다. 버셔 연구원은 “최적의 디자인을 통해 기존의 로봇손이 해내지 못했던 동작을 가능케 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자율주행차의 눈 '라이다' 나노광학 기술로
손가락
만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개발하기 위해 여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손가락
한 마디 정도 크기를 갖는 초고속·초정밀 라이다 장치를 값싸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가려움 강도 측정하는 휴대용 센서 개발
연합뉴스
l
2021.05.03
휴대용 센서를 개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일 보도했다. 이 센서는
손가락
, 팔목, 팔꿈치 등을 사용하는 모든 형태의 긁는 동작을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학습 알고리즘(machine learning algorithms)을 통해 손으로 긁는 동작만을 잡아낸다. 손을 흔드는 제스처 같은 유사 동작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핫플레이스로 먼저 떠오르는 곳은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이다. 이곳에서 발견한
손가락
뼈의 게놈을 2010년 해독한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가까운 미지의 인류로 밝혀져 데니소바인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술라웨시섬 남쪽에 있는 플로레스섬도 2004년 꽤나 떠들썩했다. 섬의 리앙부아 동굴에서 ... ...
코로나19 시대 '집콕'과 '스마트폰'이 부르는 디지털 질병
연합뉴스
l
2021.04.22
나타난다. 보통 30∼60세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5∼6배 더 많다.
손가락
이 저리거나 손목을 구부리거나 젖힐 때 손 저림이 심해질 때, 물건을 들다가 자주 떨어뜨리거나 아침에 손이 굳거나 경련이 있을 때 손목 터널 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증상이 ... ...
[프리미엄리포트]모바일 세상에서 장애인이 차별을 겪는 순간들
과학동아
l
2021.04.17
홈버튼은 스마트폰을 직접 보지 않고도 위아래를 구분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미세한
손가락
움직임이 힘든 지체장애인을 돕기 위해 스마트폰에 별도의 장치를 연결하는 ‘스위치 제어’ 기능도 있다. ○ 접근성 기술 뛰어난 스마트폰, 활용이 못 따라가 그렇다면 시각장애인들 대부분 불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재구성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5만 년 전 시베리아의 한 동굴에서 발굴한 사람의 새끼
손가락
뼈에서 추출한 DNA를 해독해 데니소바인이라는 미지의 인류를 밝혀낸 2010년 발견이 떠오르는 쾌거다. 대략 300만 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로 넘어온 남부매머드(학명 Mammuthus meridionalis)가 새로운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예법이었습니다. 그런데 현 국왕 폐하의 조부께서 오랜 관습에 따라 껍질을 깨다가
손가락
을 베이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국왕 폐하께서 계란의 가는 쪽 끝을 깨야 하며 위반 시에는 엄하게 벌한다는 포고를 내리셨습니다. 백성들은 이 법에 몹시 분개하였고, 그 문제로 폭동이 여섯 번 일어났습니다. ... ...
LED로 감성 충만 ‘햅틱’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레이저 가격이 비싼 데다 소형화가 어려워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연구진은
손가락
의 위치에 따라 모두 다른 진동이 느껴지도록 만드는 기술을 고안했다. 먼저 낮은 출력의 광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고가의 레이저 광원에 비해 가격이 1만분의 1에 불과한 소형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