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부
높은 자리
상좌
윗부분
상란
뉴스
"
상단
"(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코로나19 공기감염 가능성 첫 실험증거 나왔다
2020.11.02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가정했다. 큰 비말이 이같은 실험 환경을 뚫고
상단
케이지로 올라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 것이다. 연구진은 각 도너 그룹의 페렛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며 이틀에 한번씩 바이러스의 RNA와 감염성 바이러스의 양을 측정했다. 실험이 시작된지 13일째 ... ...
[프리미엄 리포트]과일이 저마다 색으로 물드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10.17
촉진하는 조절인자를 비교했다. 그 결과, 블러드 오렌지종의 루비 유전자 염기서열
상단
부에는 조절인자가 결합할 수 있는 뉴클레오티드(nucelotide)가 삽입돼 있지만, 일반 오렌지종에는 삽입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블러드 오렌지에서는 루비 유전자가 발현되는 반면, 일반 오렌지에서는 거의 ... ...
지구에 붙잡힌 '작은 달' 알고보니 54년전 임무 실패한 로켓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물체가 NASA가 1966년 발사한 센타우르 로켓의
상단
일 것으로 추정했다. 센타우르 로켓의
상단
은 길이가 약 10m고 지름은 3m 정도다. 센타우르는 1966년 NASA의 무인 달 탐사선 서베이어2를 달에 보내는 임무를 진행했다. 유인 달 탐사 계획인 아폴로 임무에 앞서 달을 탐사하는 목표로 발사된 서베이어 2는 ... ...
韓-英-中-日 4개 국어 동시 소통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한다고 향상되는 것은 아니라는 내용이었다. 도에벨 교수가 강연을 이어가는 동안 화면
상단
에는 그의 말이 영어 자막으로, 하단에는 영어 자막 밑에 한국어 자막이 동시에 떴다. ‘처음 운전하는 법을 배웠을 때를 기억하나요?’라며 문장이 자연스럽게 번역됐다. 김영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구글맵 코로나19 환자수 정보 제공 시작…한국 지도 반출 불가로 제외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계획이며, 이번 주 중 업데이트를 통해 이를 실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구글맵 오른쪽
상단
에서 ‘코로나19 정보(COVID-19 Info)’ 레이어를 클릭하면 미국의 경우 주별, 카운티별, 도시별로 일주일 평균 10만 명 당 확진자가 숫자로 표시된다. 이 서비스는 구글맵이 지원되는 전 세계 220개 국가에서 ... ...
심부전 유발하는 심장 비대증 원인과 치료법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환자의 가슴을 엑스레이(X-ray)로 촬영했다. 오른쪽
상단
의 기기는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심박조율기다. 위키피디아 제공 국내 연구팀이 주요 쇼크사 원인으로 꼽히는 심장 비대증의 발생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냈다. 심장 비대증은 심장의 무게가 커진 상태로 호흡곤란이나 협심증을 일으키고 심할 ... ...
날아가는 깡통 아닙니다. 화성 갈 로켓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실을 수 있다. ‘수퍼헤비’라고 이름 붙은, 지름 9m에 길이 68m의 거대한 발사체의
상단
으로 발사된다. 2021년 첫 비행을 거쳐 2023년 달 여행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스타십 시제품 'SN3'의 모습. 일론 머스크 트위터 스페이스X는 지난해부터 스타십의 시제품 시험을 이어가고 있다. 처음 ... ...
고체로켓 사용제한 풀렸다지만 로켓 쏠 하늘이 없네
2020.08.03
뒀던 기준이다. 2013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한국 최초 발사체인 나로호
상단
에도 고체로켓을 사용했지만 미사일 지침에 따라 8t급 추력을 내는데 그쳤다. 2017년에 이뤄진 개정에서도 고체로켓의 사거리를 800km로 정했으나 우주발사체용 추력 개정은 없었다. 이번 지침 개정으로 ... ...
한미미사일 지침 개정으로 로켓 르네상스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더 뛰어나고 조절이 쉬운 액체연료를 메인 발사체로 활용하고 고체연료를 보조 부스터나
상단
의 추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하는 혼합형 발사체기 때문이다. 드물게 고체연료를 메인 발사체에 활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소형 발사체일 경우가 많다. 일본의 입실론이나 유럽의 베가 등이 대표적인 ... ...
4차례 개정 끝에 풀린 '우주개발 걸림돌'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힘으로 1차 개정의 제한과 같다. 이에 따라 2013년 발사한 한국의 우주발사체 나로호
상단
에 쓰인 고체로켓도 이 기준에 맞는 8t급 추력을 갖췄다. 2017년 3차 개정에서 고체로켓의 사거리를 800km로 정했으나 추진력에 대해 개정하지는 않았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