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암세포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잘 대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 지원 과제(체내
삽입
형 나노바이오 센서의 평가를 위한 멀티 스케일 혈관 내재형 피부복합조직 모사체 개발) 및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단 사업(중대 질환 UnTACT 시스템 개발) 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
식량위기 대안될까…EU, '유전자교정 작물' 규제 완화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교해 개량한 작물이다. 다만 다른 유전자변형농산물과 달리 외래 유전자를 작물에
삽입
하지 않고, 작물 자체의 유전자만 이용해 개량한다. EU는 2001년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에 대한 법적 규제를 채택한 이래 모든 GMO에 까다로운 승인 절차를 적용했다. 시장에 내놓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는 ... ...
병원성 바이러스서 mRNA백신 성능 높이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확인했다. K5를
삽입
하자 바이러스 벡터의 유전자 전달 효과가 크게 증가했다. mRNA 백신에
삽입
했을 땐 mRNA가 안정화되고 장시간 많은 양의 단백질이 생산된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는 K5 서열이 RNA 치료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김 단장은 “K5 서열을 이용해 mRNA 백신과 유전자 치료제의 ... ...
뇌 속 여러 신경전달물질 실시간 측정하는 브레인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04
칩은 기존의 뇌척수액 추출용 탐침보다 약 8배 정도 작은 0.1mm 크기로 제작돼, 뇌에
삽입
될 때 조직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쥐 실험에서 브레인 칩을 이용해 조현병과 관련된 뇌 영역인 전전두엽과 시상 영역 사이의 신경회로가 흥분성 글루탐산성(글루탐산 신경전달 시스템) ... ...
잠자는 동안 꿈꾸며 보호색 바꾸는 문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29
위해 뇌 활동을 관찰하는 실험도 이어졌다. 연구팀은 바늘 모양의 전극을 문어의 뇌에
삽입
한 뒤 뇌 신경세포들이 주고 받는 전기화학적 신호인 국소장전위(LFP) 신호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얕은 잠을 잘 때는 깨어있을 때와 유사한 수준의 LFP 신호를 감지했다. 깊은 잠에 빠져들었을 때는 신호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장의 조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6.25
모습으로 담겨있다. 표지 왼쪽으로는 ‘이음새의 균열’이라는 큼지막한 문구가
삽입
돼 있으며 그 아래로는 ‘식물 생장 방식의 조정’이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크리스토퍼 화이트우즈 영국 캠브리지대 연구원 연구팀은 식물의 세포벽과 조직을 통해 세포층의 상호작용을 조정하는 식물 ... ...
[표지로 읽는 과학] 양자컴퓨터 상용화 위한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3.06.17
처리된 표지 왼편으로는 ‘노이즈를 가로지르며(CUTTING THROUGH THE NOISE)’라는 문구가
삽입
됐다. 이 문구 아래로는 ‘양자 프로세서가 오류 완화를 통해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도달할 수 없었던 물리학에 접근하다’라는 문구가 배치됐다. 아브히나브 칸달라 IBM 왓슨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금문교가 보인다. 표지 오른쪽으로는 ‘길거리를 강타하다’라는 큼지막한 문구가
삽입
돼 있으며 그 아래로는 ‘봉쇄령 기간 동안의 포유류의 활동’이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말리 터커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 교수가 이끄는 대규모 국제 공동연구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 ...
인류 vs 모기, 최후의 승자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10
특정 부분만 자르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불임 유전자를 탑재해 수컷 모기의 알에
삽입
했다. 모기 안으로 들어간 유전자 가위는 가임 유전자를 더이상 임신이 불가능한 불임 유전자로 바꾼다. 다음 세대의 모기도 불임 유전자를 물려받아 번식이 불가능해진다.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이 적용된 ... ...
배 위에서 움직이는 로봇팔로 내시경 자유자재로 조종
동아사이언스
l
2023.06.09
구석구석을 탐험할 수 있다”며 “의사의 더 섬세한 관찰이 가능해진 것은 물론, 내시경
삽입
을 위해 절개해야 하는 면적도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절개 면적이 줄어든 만큼 환자의 수술 후 회복 속도도 더 빨라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홍콩중문대 멀티스케일 의료용 로봇센터(MRC)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