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뉴스
"
불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직접 만든 로켓 쏘아올리는 고교생
과학동아
l
2023.12.16
순항미사일을 만든 셈이죠. 허허. 고도 500m에 도달할 거라고 예상했던 로켓이
불
조차 안 붙은 적도 있어요. 종이보다 더 강한 소재가 필요했어요. 아크릴 통으로 로켓의 몸통을 만들어서 2022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발사 시험을 했습니다. 그때가 더 최악이었어요. 엔진이 처음부터 휘어져서 ... ...
"모기 진화 초기엔 수컷도 피 빨았다…백악기 화석 발견"
연합뉴스
l
2023.12.05
연합뉴스 제공 1억년 이상 전인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 발견된 호박(amber) 속에 있는 모기 화석을 분석한 결과 수컷 모기도 암컷처럼 다른 동물의 피를 빨 수 있는 턱과 빨대의 입 구조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과학원 난징 지질학·고생물학 연구소 및 레바논대학 대니 아자르 박사팀은 5일 과 ... ...
[나는1저자다] ⑤"인력 유입 끊기면 세계 최고 수준 연구경쟁력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명근=과학은 정말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불
과 15년 전만 해도 스마트폰이 없었다. 기술개발에 의해 세상이 정말 다르게 흘러갈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없었던 것을 만드는 희열을 느끼고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꿈이 있다면 연구자가 되길 ... ...
럼피스킨, 국내 확진 105건으로 늘어…청주·고창에서 2건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9
감염된 소는 고열, 피부 결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암소는 우유 생산이 줄고 유산,
불
임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 인수공통감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이 이 병에 걸린 소의 고기나 우유를 섭취하는 건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 ... ...
[잠깐과학] 베일 벗는 2000년 전
불
탄 파피루스 속 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1.18
화산 폭발로 인해
불
에 탄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스캐닝하고 있는 모습(왼쪽),검게 탄 파피루스 두루마리에서 읽어낸 ‘보라색’이란 뜻의 그리스어 문자(오른쪽 ...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1월 15일호, [과학 뉴스] 2000년 전
불
탄 파피루스 속 글자를 읽어내다 ... ...
"술 한두 잔에 얼굴 빨개지는 남성, 심근경색 위험 높다"
연합뉴스
l
2023.11.14
게 여러 연구로 확인된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는 건
불
에 기름을 붓는 격인 만큼, 연말연시 건강을 생각한다면 반드시 금주와 금연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팬데믹 극복 항바이러스제 개발 초석 다지는 '문샷'
동아사이언스
l
2023.11.13
프로젝트를 의미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의 앨버트
불
라 최고경영자(CEO)도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달 탐사선 발사에 버금가는 업적이라는 의미로 자신의 책 제목에 문샷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코로나19 백신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 백신 제조사들이나 방역 ... ...
누리호·초소형유전자가위...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능력을 확보하고 국가 우주개발 계획의 실현에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불
타지 않는 전고체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 기술 개발’ 성과는 차세대 전고체전지용 핵심소재(황화물 고체전해질)의 저가격 대량생산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사업화를 추진했다. 미래 ... ...
임기철 GIST 총장 "과기특성화대 의학전문대학원, 공동 운영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23.11.08
것은 지나치게 장기적인 목표의 사업들이 주를 이루는 점도 있다"며 "R&D 현장에 활력을
불
러일으키기 위한 차원에서도 감축된 3~4조원 중 절반 정도는 향후 5년 이내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에 집중 투입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 ...
난임·
불
임 새 원인 찾아…"체외수정 전 유전자 검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1.03
불
임과 난임으로 병원을 찾는 인구수는 지난해 이미 37만명을 넘어섰다. 난임·
불
임치료제 개발을 위한 생리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연구팀은 난모세포 내 세포질 격자에 주목했다.난모세포는 난자의 근원이 되는 세포로 난소 내 분열 증식을 멈추고 성장기에 들어간 세포다. 이 시기에 배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