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259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
항암 방해 핵심인자 찾았다…폐암 새 치료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하는 핵심조절인자를 처음으로 찾아내 이를 제어했다“며 ”
면역
회피능을 되돌려
면역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던 암의 반응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한 것이 이번 연구의 주요 성과”라고 말했다. 이어 "암세포 내 복잡한 분자네트워크에 숨겨진 핵심인자인 DDX54를 ... ...
서울대병원, 뇌암 진단˙치료 동시 가능한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상승해 교모세포종 세포가 소멸했다. 2주 동안 6회에 걸쳐 나노물질을 주입한 경우 뇌암
면역
세포 활성이 유도되기도 했다. 나 교수는 “개발한 나노물질은 매우 높은 고온의 온열치료뿐만 아니라 MRI 조영제로써 종양 추적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며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큰 도움이 될 ... ...
'폭싹' 관식 앓았던 '다발골수종'은 무엇?…"최대 10년 이상 생존 사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원인이 아니다. 이 교수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다발골수종은 환자의 정상적인
면역
체계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는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다발골수종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지난 20년간 항암 치료가 크게 발전해 환자의 생존 기간이 크게 증가했다. 200 ... ...
주거지 덮친 산불…꺼져도 유해물질 장기간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장기 프로젝트다. 연구를 이끄는 카리 나도 하버드대 교수는 "산불의 영향으로
면역
세포인 'T세포'가 돌연변이로 인해 림프종으로 바뀌는 데 10년이 걸릴 수 있다"며 "50개 주택에 사는 LA 거주민들을 조사해 장기적으로 산불로 인해 어떤 건강 변화가 생겼는지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버드대 ... ...
비만치료제 개발 과학자 등 '실리콘밸리 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06
점을 확인했다.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
체계가 건강한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
면역
질환으로 시각을 상실하거나 운동 장애, 인지기능 장애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마지막 생명과학상 수상자는 데이비드 리우 미국 브로드연구소 교수다. 그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권위자다. 현재 유전자 ... ...
'아프리카 식단'으로 바꿨더니 단 2주 만에
면역
과 대사 안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바나나 음료 섭취자에게서도
면역
개선과 대사 안정화 효과가 관찰됐다는 사실이다. 발효 식품이 식단 전반의 건강 효과를 강화하는 주요 요소란 설명이다. 연구팀은 “염증 반응은 대부분의 만성 질환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핵심 ... ...
mRNA 백신 작동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염기다. mRNA 염기 중 하나를 대체하는 N1-메틸수도유리딘은 신체가 갖고 있는 선천적인
면역
반응을 회피하는 특성이 있다. 연구팀은 mRNA를 공격하는 TRIM25 단백질이 N1-메틸수도유리딘 변형 염기 앞에서 결합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결국 mRNA를 절단하거나 분해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김 단장은 ... ...
몸에서 녹는 쌀알만한 심장 박동기, 심장질환 신생아 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자연회복이 된다. 크기가 작으면서 체내에서 생분해되는 심박조율기는 체구가 작고
면역
력이 약한 소아 환자 치료에 꼭 필요한 장치라는 설명이다. 연구를 이끈 로저스 교수는 "소아 심장 수술 현장에선 소형화되고 일시적으로만 작동하는 심박 조율기가 절실했다"며 "이번에 개발된 장치는 ... ...
아이 교실에 독감 바이러스 떠다닐까…공기 중 포집 분석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포집한 바이러스 샘플을 종이
면역
센서에 옮겨 바이러스 유무를 30분 안에 알아낸다.
면역
센서는 단백질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검출 기술이다. 바이러스 표면의 헤마글루티닌(HA)과 핵단백질(NP)이 항체와 반응해 검출된다. 개발된 기기는 바이러스 검출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검출된 ... ...
삼성호암상 과학상에 신석우·정종경…공학상 김승우, 의학상 글로리아 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시스템을 이용해 자폐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뇌신경과학자다. 최 교수의
면역
계·신경계 상호작용 연구는 자폐, 우울증, 치매 등 뇌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