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금자리
둥우리
새집
nest
숨는 곳
굴
뉴스
"
둥지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예리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참매에 매료되어 8년이란 긴 시간 동안 여름이면 숲속에서
둥지
앞을 지키고, 겨울이면 허허벌판 사냥터에서 참매만을 좇은 저자가 그동안 모은 참매의 생태와 사냥 습성에 대한 기록과 사진을 묶어 펴낸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그동안 잘못 알려져 있었거나 우리가 미처 ... ...
아이손아, 해 뒤를 돌아 무사히 나오렴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있는 섬들이다. 천문 관측 여건이 좋아서 예로부터 유럽의 많은 천문대가 이곳에
둥지
를 틀었다. 이곳의 카나리아 천체물리학 연구소에 일하는 스페인의 후한 카를로스 카사도(Juan Carlos Casado)가 지난 11월 24일에 촬영한 사진(http://blogs.elcorreo.com/el-navegante/files/2013/11/Juan-Carlos-Casado-ison211113jcc_1385022703 ... ...
백악기에 우리나라 서해안엔 공룡이 '바글바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5
이융남 지질연 지질박물관장은 “공룡알의 형태로 보아 이 지역은 육식공룡의 알
둥지
일 가능성이 높은 만큼 또 다른 화석 존재여부를 확인해 공룡의 종류까지 밝혀낼 것″이라고 밝혔다 ... ...
흐르는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불리는 자성물질이 있어서 날씨가 흐리거나 어둡더라도 어렵지 않게 자신의
둥지
로 돌아올 수 있다. 마그네타이트가 일종의 ‘나침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비둘기 몸에 자석을 붙인 후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풀어놓으면 되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어도 ... ...
인간은 '욕망의 노예'가 아니라 '뇌의 노예'?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것도 좋을 듯 싶다. 숲 해설가들의 ‘필독서’로 꼽히던 ‘나무와 숲’이 한길사에 새
둥지
를 틀었다. 1부에서는 우리가 왜 식물을 알아보아야 하는지, 숲 안에서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하는지 알려준다. 이렇게 숲의 철학을 배운 뒤에는 2부에서 본격적으로 식물 이름, 특징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 숲 ... ...
[제주]제주 여름철새 ‘팔색조’ 개체수 크게 늘었다
동아일보
l
2013.10.16
번식한다. 주로 지렁이를 먹기 때문에 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바위, 나무줄기 사이에
둥지
를 짓고 4∼6개의 알을 낳는다. 몸길이는 18cm가량으로 깃털과 몸통의 다양하고 화려한 색이 특징이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화제의 뉴스] - [단독]“김정은, 로드먼에게 ‘北은 가장 위험한 국가’라며 ... ...
[광화문에서]부리부리 박사가 부흥부흥
동아일보
l
2013.08.16
소동을 겪는 식이다. ‘부엉이 곳간’이라는 말이 있다. 부엉이는 새끼를 위해
둥지
에 이것저것 모아두는 버릇이 있다고 해서 살림살이가 부쩍부쩍 늘어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제가에서 보듯 부리부리 박사도 ‘이것저것 쓸어 모아 발명을 한다.’ 과학기술이 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 ...
[대덕연구단지 40년] 국가경제 기틀 다진 ‘기술의 요람’
동아일보
l
2013.08.13
1968∼90년 국내 연구소에 영구 귀국한 해외유치 과학자 517명 가운데 상당수가 대덕특구에
둥지
를 틀었다가 산업계와 학계로 자리를 옮겨 해당 분야의 발전을 주도했다. 설 교수는 “CDMA 개발과 ‘원자력 기술 독립 두 가지만 따져도 본전을 뽑고도 남은 셈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화조와 ... ...
경복궁, 부산 범어사, 부안 내소사가 위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9
서민석 박사는 “여왕의 성 페로몬 냄새를 맡은 흰개미 무리가 냄새가 나는 지역으로
둥지
를 옮기게끔 유도해 문화재를 보호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 ...
한려해상국립공원서 멸종위기 팔색조 서식지 발견
동아일보
l
2013.07.12
처음 확인한 뒤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왔다. 그리고 6월 중순 5개의 알을 품은 팔색조
둥지
를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여덟 가지 화려한 색채를 자랑하는 팔색조는 여름철새 중 가장 아름다운 새로 꼽히며 제주도와 남해안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해=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화제의 ... ...
이전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