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도덕"(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작은 선행이 나쁜 행동을 부른다2018.09.29
- 해서 선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작은 선행 하나로 너무 큰 도덕적 우월감을 얻는 일을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은 선행을 곱씹다가 생긴 큰 허용효과로 인해 나쁜 행동을 한 두개에서 여러개 하는 것도 가능하니 말이다. 가능하다면 총량이 정해지지 않은 선행을 ... ...
- [내 마음 왜 이럴까?] 규율과 복종으로 스스로 옥죄는 삶...강박성의 진화 2018.08.19
- 과한 사람은 흔히 아주 비양심적인 행동을 저지르게 됩니다. 다른 사람에게 엄격한 도덕 원칙과 업무 성과를 강요하기 때문이죠. 융통성도 없고, 관용도 없습니다. ‘옳지 않은 일’에 관용을 하는 것은 그 자체가 ‘악’에 타협하는 일이라고 여깁니다. 주변 사람은 질식할 것 같은 느낌을 받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2018.08.11
- 반면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는 본능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도덕적 책임을 인지하는 것, 또 타인의 필요를 살피는 사려깊음을 요구한다. 따라서 그럴싸한 겉모습에 홀리지 않고 그 안의 진짜 의미를 찾아낼 줄 아는 사람들이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 ...
- [뉴스룸]‘돈벌이 학회’에 숨은 도덕적 해이 해결하려면동아사이언스 l2018.08.06
- 최근 다수의 국내 연구자가 와셋(WASET) 등 허위 학술단체가 주관하는 가짜 학회에 참가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런 단체는 돈벌이를 목적으로 운영된다. 제출한 논문의 수준과 상관없이 발표를 승인하고, 그 대가로 적잖은 참가비를 받는다. 일부 연구자는 이런 학회에 참석한 대가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당신의 마음은 독재자인가요? 2018.07.15
- 첨예한 의견 대립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서로에 대한 과도한 혐오와 비난, 도덕적 선을 넘은 공격과 모독, 외부인에 대한 악마화와 상대편에 대한 마녀사냥이 멈추지 않습니다. 그러나 갈등의 시작은 바로 개인의 내면에서 비롯합니다. 혹시 여러분의 마음은 단 하나의 의견만이 ... ...
- 위험 줄었는데...왜 여전히 위험하다고 느낄까동아사이언스 l2018.07.02
- 뒤 부도덕한 연구를 줄이자 전에는 별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던 연구 제안서도 부도덕한 연구로 평가를 바꿨다. 레버리 연구원은 “현대사회는 빈곤과 문맹, 폭력, 유아사망률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해 왔지만 사람들은 세상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고 믿고 있다”며 “실제 위협이 줄어도 위협이 크게, ... ...
- [과학사진관] 스냅스뇌질환 연구원의 작업일지 ②동아사이언스 l2018.05.14
- 약화되어 표현형인 정신 질환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도 마찬가지다. 개인이 부도덕하고 이기적인 사회의 경우, 개인은 최대의 이익만 추구할 뿐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는 지에 관해서는 아랑곳 하지 않는다. 개별 구성원들이 이상을 좇는 동안 사회 전체는 발전 동력을 잃어버리고 혼탁해질 뿐만 ... ...
- [테마영화] ‘버닝’으로 돌아온 이창동 감독의 영화 BEST 32018.05.12
- 그는 과거 운동권 학생들을 고문하던 경찰이었고, 가정을 두고 불륜을 저지르는 부도덕한 인물이다. 그런 한편으로 IMF의 타격을 온몸으로 맞고, 사기를 당해 인생이 망가지는 인물이기도 하다. 시간을 거슬러, 80년 5월에 도달하면 군인으로 광주에 내려간 청년 영호의 모습이 그려진다. 한 때 ... ...
- 댓글은 죄가 없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8.04.20
- 탈법적)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광장에서 원치 않는 목소리가 커졌다거나 비도덕적(또는 탈법적) 사건이 벌어졌다고 해서 광장을 폐쇄하자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광장은 중립적이기 때문이다. 일부 권력자들이 광장을 폐쇄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지만, 이는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 ...
- [카드뉴스] 인간은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4.18
- 이러한 상황에서 윤리적 소프트웨어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습니다. 책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소개한 접근법을 소개합니다. 로봇윤리 세 가지 접근법 1. 논리기반 접근법: 큰 원칙을 알려줌 인공지능에 넣는 ‘행동규칙’ 대신 ‘생명은 소중하다’는 큰 원칙을 넣는다. 실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