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성
뉴스
"
깊은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거대 구덩이에 동굴 확인…"달 기지로 유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달 정찰 인공위성으로 2010년 촬영한 레이더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구덩이는 달에서 가장
깊은
것으로 알려진 구덩이다. 구덩이 서쪽에서 레이더 밝기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한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해당 위치에 동굴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동굴은 달 표면에서 130~170m 아래에 ... ...
부산 찾은 세계 우주기관들 "우주청 개청, 한국과의 새 협력관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그러면서 NASA는 우주항공청을 포함한 한국의 우주 기관 및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력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이제 막 개청한 우주항공청은 앞으로 한국과의 더 넓은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부스 또한 잠재적인 협력 기회를 찾기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롤랜드 뷔르그만 미국 버클리 지진학 연구소 연구원은 "물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지구 더
깊은
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도 마하라슈트라주에 위치한 코이나 댐. 1964년 댐에 물을 저장하기 시작한 이후로 지진이 발생했다. 특히 1967년 12월에는 규모 6.6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오리와 백로를 보는 건 일상이 됐고 얼마 전에는 가마우지까지 출몰했다. 녀석은 수심이
깊은
곳에서 잠수해 사방을 휘저으며 빠르게 헤엄쳤는데 아마도 물고기를 사냥하는 것 같았다. 얕은 곳에 서서 노리고 있다가 지나가는 물고기를 콕 집어 잡는 백로는 사냥효율에서 도저히 경쟁이 안 될 것 ... ...
교육부에 반기 든 의대 교수들…의협, 전공의 참여 회의로 대표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근거 없이 예단해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지속해서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이어 오 차관은 "의대 교수 인력 법정 기준은 교수 1인당 학생 8명이나 현재 40개 의대의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평균 1.6명이며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가장 높은 대학도 4.8명으로 ... ...
日, 차세대 대형 로켓 발사 성공·中 민간기업은 재사용로켓 발사 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로켓 내 컴퓨터가 스스로 작동을 멈췄고 로켓은 시험대로부터 남서쪽으로 1.5㎞ 떨어진
깊은
산속에 떨어져 해체됐다. TL-3는 미국 스페이스X의 주력 발사체 팰컨9와 동급인 대형 로켓이다. 1단 로켓은 자율 귀환과 재사용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번 시험 발사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본격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022년 출간한 책 '식물은 어떻게 작물이 되었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약진에 이미
깊은
인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2002년 작물로는 처음 벼의 게놈이 해독된 이래 10년 동안 해독된 작물은 10여 종에 그쳤고 대부분 주산지인 나라가 주도했다. 포도 게놈 해독은 프랑스와 이탈리아 공동연구팀의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형성된 퇴적층이다. 한반도에서 가장 젋은 땅이라 불리는 이유다. 약 1500만 년 전에는
깊은
바다 속에 있었다고 알려진다. 황 연구원은 "포항은 육지에서 퇴적된 퇴적층과 심해에서 퇴적된 퇴적층 모두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1700만 년 전부터 신생대 제3기에 포항 분지가 바다로 변하면서 빠른 ... ...
어금니는 왜 움푹 파여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15
어금니의 씹는 면이 완전히 매끈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올록볼록한 모양은 그대로지만
깊은
홈에 음식물이 끼지 않는 정도로 막는 거예요. 한편, 앞니는 어금니와 달리 씹는 면이 좁고 편평합니다. 앞니도 처음 자랄 때는 씹는 면이 낙타 혹처럼 오돌토돌합니다. 잇몸을 보다 쉽게 뚫고 나오기 ... ...
'세포 죽음 연구자' 김유선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115년 전 젊은 화학자 유진 슈엘러의 개척 정신에서 탄생한 로레알은 과학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다”며 “전 세계 20개 최첨단 연구소를 두고 매출액의 3%를 연구에 투자하고 있으며 4000여명의 과학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작년 기준 610건의 특허가 등록됐고 이 중 54%가 여성과학자에 의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