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3,9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인간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종의 뇌 기능을 더욱 자세히 밝힐
길
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말라 머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초파리 종인 노랑초파리 성체의 완전한 뇌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활용해 초파리 뇌의 다양한 정보처리 과정을 ... ...
완강했던 '2025년 백지화' 여지 보인 의협…의사단체 추계위 참여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4.10.01
또한 아직까지 별다른 반응이 없는 등 의료계 전반적인 협조가 이뤄지는 데는 갈
길
이 먼 것으로 보인다. 1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에 '의료인력 수급 추계위원회(이하 추계위)'를 신설할 계획이다. 의료계의 각 직역이 추천하는 전문가들이 절반 ... ...
고개 많이 돌리게 해 저시력자 돕는 모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시야 결손으로 인해 시각 인지가 원활하지 않은 저시력자의
길
찾기, 공간 인식 등 시각 인지 및 탐색 절차를 보조하기 위해 와치캡을 개발했다. 와치캡의 특징은 저시력자가 주변 환경의 중요한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도록 도와준다는 점이다. 사용자의 시각 인지 ... ...
조울증, 뇌전증과 유전적 연관성…맞춤형 치료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해 맞춤형 치료
길
을 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밍 리 중국과학원 쿤밍동물학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양극성 장애인 조울증과 과거 ’간질‘로 불린 뇌전증 사이에 강력한 유전적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30일 국제학술지 ... ...
'제1회 어린이우주인 선발대회' 최종 행사 성료…우수 참가자 30명 홍보대사 임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30
창업하게 되었다"며 "여러분의 꿈도 꾸준히 이어져 우주 산업에서 다시 만나
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어린이 우주 홍보대사 임명식 후 스탬프 투어와 비공개 면접이 진행됐다. 스탬프 투어에서는 발사체 모형 조립, 위성 사진 출력하기 등 간단한 체험 활동이 진행됐다. 오늘 행사에 참여한 ... ...
반사율 97% 신소재로 다시 쓰는 이솝우화
과학동아
l
2024.09.28
수동 복사 냉각 연구가 계속 이어진다면 나그네는 더 시원하고 따뜻한 외투로 가던
길
을 갈 수 있을 겁니다. 햇빛이 내리비치는 무더운 날에도 셋째 돼지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도 쾌적한 내부 생활을 할 수 있었을 겁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9월호, [현장취재] 반사율 97% 신소재로 다시 ... ...
[동물do감] 겨울잠 자는 다람쥐서 백내장 치료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가 백내장 치료
길
을 여는 데 실마리를 제공했다. 이 설치류는 겨울잠을 잘 때 백내장 현상이 나타났다가 잠이 깨면 사라지는 특징을 보인다. 웨이 리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망막신경생리학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다람쥐과 설치류인 ... ...
유인발사체 스타트업 우나스텔라, 195억원 규모 투자 유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연내 '우나 익스프레스 1호기' 발사를 앞두고 있다. 우나 익스프레스 1호기는
길
이 10m, 지름 0.7m 규모의 발사체다. 케로신(등유)과 액체산소를 연료로 사용하며 최대 고도 40km에 도달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우나스텔라는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을 핵심 경쟁력인 전기모터펌프 엔진 기술 고도화 ... ...
갑오징어 추출물로 만든 필름, '완전 생분해'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가능한 미래 전자 소재를 개발했다. 완전히 생분해가 되는 전자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길
이 열렸다. KAIST는 명재욱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클라라 산타토 캐나다 몬트리올공과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대부분 생분해되는 '세피아 멜라닌' 소재 기반 전기 활성 필름을 개발했다고 25일 ... ...
"위성 정보가 기업 투자 결정"…해양硏 나와 우주에 '올인'한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9.24
생존하고 번성하려면 우주를 탐험할 수밖에 없다. K팝, K방산처럼 K우주라는 개념이 생
길
정도로 해외 시장에서 승부를 보고 싶다. 텔레픽스가 한국 민간 기업이 해외에서 경쟁력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국의 많은 청소년이 국내 우주 기업을 꿈꾸지 않을까. 내년에 텔레픽스는 코스닥 상장에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