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계적에너지"(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2% 부족한 쇳덩이에서 인류 위협하는 존재로2015.05.23
- “두려워. 난 살고 싶어.” 올 3월 개봉한 영화 ‘채피’에는 지능을 갖게 된 로봇 채피가 낯선 사람들에게 공격을 받으면서 두려운 감정과 삶에 대한 의지를 토로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가 개봉되자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감정을 가진 로봇은 인격체인가, 아닌가’를 놓고 토론이 벌어지기도 ... ...
- 목발 대신 ‘외골격 로봇’ 신어 보세요2015.04.02
- 연구진이 개발한 웨어러블 외골격 장치. 발목과 종아리 사이에 착용하면 걸을 때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여 준다. - Steve Collins 제공 걷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줄여 주는 부츠 형태의 웨어러블 외골격 장치가 개발됐다. 스티브 콜린스 미국 카네기멜론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아무런 동력 없이 착용 ...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03.26
- istockphoto 제공 첫눈에 들어온 것은 사람 키의 2배가 넘는 대형 모터였다. 뒤로는 발전기와 배터리, 배전반과 같은 각종 전기장비들이 100m 가까이 연결돼 있었다. 프로펠러만 있었다면 진짜 잠수함 내부인 줄 착각할 뻔 했다. 9일 찾아간 경남 창원의 전기선박 육상통합시험장(LBTS, Land Based Test Site)은 ...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2014.11.18
- 국내 연구진이 효율이 높으면서도 잘 휘는 플라스틱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손목에 감싸 1000번을 휘어도 효율이 그대로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스마트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면 자체 충전이 가능한 전원으로 쓰일 수 있을 전망이다. 정현석 성 ...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 ‘기계’ 하면 딱딱하다는 느낌이 들기 마련이다. ‘기계적’이라는 수식어는 부정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기계기술이 에너지, 바이오 등 융복합 기술 개발에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하면서 첨단 기술 개발의 첨병으로 떠올랐다. 한국기계연구원이 24일 개최하는 ‘미래기계기술포럼 ... ...
- 더 튼튼하고 더 친환경적인 시멘트 나왔다2014.09.29
- 미국 연구진이 더 튼튼하면서도 탄소 배출량을 줄인 시멘트 제조법을 개발했다. - iStockphoto 제공 시멘트와 모래, 자갈, 물을 섞어 만드는 콘크리트는 건물을 지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건설 재료 중 하나다. 하지만 콘크리트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콘크리 ... ...
- 설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동아사이언스 l2014.08.06
- 확대해서 본 설탕의 결정 - 위키피디아 제공 설탕‧소금 등과 같은 식품부터 반도체‧초음파기‧전자시계 같은 전자제품, 의약품을 비롯한 화학제품, 다이아몬드‧루비‧사파이어 등의 보석, 그리고 눈‧얼음 등 자연산물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많은 ‘결정 물질’을 접한다.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두 시간 넘게 두들겨 부쉈다, 왜?과학동아 l2014.08.03
- 영화 ‘트랜스포머4 사라진시대’ 공식포스터 - CJ E&M 제공 “도대체 이 장면에서 왜 싸우는 걸까?” 영화를 보는 내내 이 의문을 깨기 어려웠다. 악당들은 당장 필요하지 않은 폭탄 하나 얻어내기 위해 수백 대의 로봇 군단을 시내 한 복판으로 풀어 넣었다. 자기 딸을 지키겠다는 일념에 불 ... ...
-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튜브가 나선형이라니과학동아 l2014.06.09
- 탄소나노튜브가 원통형이 아닌 나선형이라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 KIST 제공 육각형 모양의 그래핀이 원통 형태로 말린 구조로 알려졌던 탄소나노튜브(CNTㆍCarbon NanoTube)가 DNA와 같은 나선구조라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재갑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계면제어연구센터 박사팀이 주 ... ...
- 쏴~ 샤워기 물이 전기로 바뀌네과학동아 l2014.04.28
- 권순형 책임연구원(왼쪽)과 김연상 교수(오른쪽) - 전자부품연구원 제공 빗방울이나 수돗물에 닿기만 해도 발광다이오드(LED)를 밝힐 정도의 전기를 만들어내는 투명소자가 개발됐다. 권순형 전자부품연구원 디스플레이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김연상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 ... ...
이전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