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1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작위성·무질서'에 담긴 규칙에서 기후위기 해결의 실마리를 찾다...노벨위원회 설명자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만들었다.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적도 주변의 낮은 태양
광선
보다 더 적은 수의 태양
광선
이 고위도에 도달한다. 태양 복사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 것이다. 지구의 축이 기울어져 계절마다 차이도 발생한다. 더 따뜻한 공기와 더 차가운 공기 사이의 밀도 차이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아주 혼란스러운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세균성폐렴과 코로나19 자동 분류하는 AI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나노물질은 입사하는 편광의 방향성에 따라 다른 광학적 성질을 보이는데 자외선과 가시
광선
에만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황화구리 세라믹 물질에 원자부터 체계적으로 카이랄 특성을 부여해 긴 파장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했다. 연구결과는 14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이라 불렀다. 자외선은 가시
광선
의 보라색 바깥쪽에 해당하는 전자기파로서 가시
광선
보다 파장이 짧다. 그러니까 자외선 파국이란 말은 파장이 짧은 영역에서 고전역학이 망했다는 뜻이다. 이와 반대로 독일의 빌헬름 빈이 1896년에 제시한 분포함수는 짧은 파장대에서 실험결과와 잘 맞았지만 ... ...
[랩큐멘터리]'1000조분의 1초' 순간을 포착하는 극초고속 레이저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한다. 연구실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20펨토초 분해능을 가진 극초단 가시
광선
광학파라메트릭 레이저를 개발해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반응을 역으로 조절하는 레이저 장비도 개발하고 있다. 화학 반응을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알아내 레이저로 에너지를 화학 반응을 조절하는 ... ...
유인 달탐사 착륙지 찾을 미 NASA 섀도캠, 한국 달궤도선에 설치 끝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섀도캠 장착이 완료됐다고 30일 밝혔다. 섀도캠은 달의 남북극 지방 충돌구 속 태양
광선
이 전혀 닿지 않는 지역인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하는 고정밀 카메라다. 영구음영지역은 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돼 물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미래 주요 착륙 후보지로 꼽힌다. 달 표면은 햇볕에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치과병원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 개소 2주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정량광 형광’ 기술이 건강보험 급여 항목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은 가시
광선
을 이용해 치아우식 유무를 확인한다. 기존 검사법으로 확인이 어려운 초기 충치를 잡아낸다. 김 교수팀은 2006년부터 15년간 이 기술과 관련해 과학기술색인(SCI)급 국제전문학술지 논문 48편과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카이랄 액정 결함 위상수학으로 해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광영상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레이저
광선
을 뇌에 조사해 생기는 간섭무늬인 스페클을 분석해 대뇌 표면에 뇌경색이 발생했을 때 뇌혈류의 변화와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속도 측정이 어려웠던 기존 레이저 스페클 ... ...
아이폰에 지문 인식 다시 생기나…코로나19가 바꾼 생체인식 시장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개발되고 있지만 안면 인식보다는 속도가 더디다. 안면 인식 기술은 10여년 전 가시
광선
대신 파장이 850~940nm인 근적외선으로 얼굴 패턴을 인식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한 단계 진화했다. 이후 구글, 페이스북 등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온 수천 만장의 얼굴 사진을 딥러닝으로 ... ...
구부리고 겹쳤더니 새 기능 쏙쏙... '변신의 귀재' 2차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떨어진다. 실리콘처럼 이미 검증된 반도체 소재를 센서에 쓸 수 있는 자외선이나 가시
광선
과 달리 적외선 파장을 흡수하는 반도체 소재들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첨단 무기기술을 개발하는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새로운 야광 투시경용 소재로 2차원 소재에 주목했다. 알리 자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낮 폭염 식히는 수동주간복사냉각
2021.08.10
도달하는 전자기파는 파장 0.3~4㎛(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로 자외선과 가시
광선
, 근적외선 영역이다. 따라서 낮에도 복사냉각효과를 보려면 일단 이 영역의 전자기파를 최대한 흡수하지 않아야 한다. 여름에 흰옷을 입거나 흰 모자를 쓰면 덜 더운 이유다. 그러나 실제 햇빛의 열에너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