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뉴스
"
각도
"(으)로 총 649건 검색되었습니다.
베이조스 탑승한 블루오리진 우주여행 로켓 '뉴셰퍼드'는 어떤 로켓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동안 속 탑승자는 자유낙하를 경험하게 된다. 돔 모양으로 사방이 유리로 돼 있어 어느
각도
에서나 우주를 보기 좋게 설계됐다. 로켓은 추진력을 이용해 시속 8km 속도로 수직 착륙하고 캡슐은 낙하산을 이용해 착륙한다. 발사와 착륙을 포함해 뉴 셰퍼드의 비행시간은 총 10~11분 정도다. .뉴 ... ...
베이조스 오늘 밤 우주여행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상공 약 100km에 올려보낼 수 있다. 유인 캡슐은 돔 모양으로 사방이 유리로 돼 있어 어느
각도
에서나 우주를 보기 좋게 설계됐다. 유인 캡슐은 낙하산으로 지구에 귀환한다. 베이조스의 동생 마크 베이조스, 82세 여성 월리 펑크, 18세 네덜란드 예비 물리학도 올리버 다먼도 동행한다. 펑크는 1960년대 ... ...
남극에 온실을 지었다...지구서 조종하는 우주인용 식물 재배 시스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무인 자율 시스템 구축을 위한 로봇 팔도 개발중이다. AI로 구동되는 로봇 팔은 다양한
각도
에서 식물을 촬영하고 죽은 잎과 싹을 잘라내며 수확까지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슈베르트 연구원은 “우주인에게는 온실을 관리할 만한 시간이 없어 AI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궁극적으로는 달이나 ... ...
[카드뉴스] 뭐라 설명할 수 있는 '오글거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손발이 오그라드는 건 어떻게 설명될까요? 우리 몸의 근육은 기능에 따라 크게 관절의
각도
를 줄여 자세를 조절하는 굽힘근과 자세를 유지하는 폄근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손발이 오그라드는 상황은 굽힘근이 과도하게 수축되는 경우인데요. 팔다리를 굽히고 몸을 움츠린 상태는 추울 때나 ... ...
메타버스에서 쇼핑할 땐 이 안경 쓰시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ETRI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화면비를 일반적인 16대 9가 아니라 32대 9로 만들어 시야
각도
대폭 넓혔다. 한쪽 눈의 시야각은 46.6도, 양쪽 눈은 80도 수준이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시야각은 한쪽 눈 기준으로 50도다. 미국의 AR 스타트업인 매직립이 구현했다. 변 실장은 “OLED는 스스로 빛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글렌 레브카가 교내 약 22m짜리 물리학과 건물에서 실험한 결과였다. 이 현상을 조금 다른
각도
에서도 설명할 수 있다. 지구 표면에서 공을 위로 던지면 공의 속도가 점점 줄어든다는 사실은 누구나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이를 뉴턴역학적인 용어로 설명하자면 공이 지구의 중력을 거슬러 운동하는 ... ...
英 억만장자 브랜슨, 베이조스 제치고 먼저 우주여행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상공 약 100km에 올려보낼 수 있다. 유인 캡슐은 돔 모양으로 사방이 유리로 돼 있어 어느
각도
에서나 우주를 보기 좋게 설계됐다. 우주여행을 마친 유인 캡슐은 낙하산으로 지구에 귀환한다. 베이조스는 1일 지난 1961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 시험을 일등으로 통과했지만 단지 여자란 ... ...
인류문명 등장 이후의 지구를 본 별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떨어진 지구가 태양 앞을 지나야 별빛을 통해 지구 존재를 알 수 있는데 현재는 그런
각도
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1642년 뒤인 3663년부터 6034년까지는 트라피스트-1에서 태양 앞을 지나는 지구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천문 연구는 지구에서 우주를 바라보는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생긴 바위 두 개와 마주칩니다. 하나는 어떤
각도
에서는 사람 얼굴처럼, 어떤
각도
에서는 스누피처럼 생겼는데, 이를 ‘서낭바위’라고 부릅니다. 그 옆에는 꼭 물을 잔뜩 마신 복어를 닮은 ‘복어바위’가 있습니다. 어쩌다 이렇게 희한하게 생긴 바위가 만들어졌을까요. ○ 서낭바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많이 한다. 그 천체의 질량이 어마어마하게 무겁다면 그 주변을 지나는 빛이 휘어지는
각도
도 어마어마하게 커질 것이다. 그 결과 재미있고도 놀라운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블랙홀의 시공간 왜곡을 3차원 시뮬레이션. 블랙홀은 뜨거운 빛을 뿜어내는 얇은 강착원반에 둘러싸여 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