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d라이브러리
"
호모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깔려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본다.아웃 오브 코리아로생물학적으로 볼 때 인류는
호모
사피엔스라는 하나의 종이다. 피부색과 얼굴 생김새가 다르지만 실제로 상대방과의 유전정보 차이는 0.1%가 채 안 된다. 요즘 민족을 구분할 때는 생물학적인 기준보다 문화와 역사적인 공통성을 더 중시한다.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마지막으로 지자기 역전이 발생한 것은 78만년전이었다. 막 걸어 다니기 시작한 인류
호모
에렉투스가 돌로 도구 만드는 법을 익히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그 이후로 아직까지 지자기 역전은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았다. 지자기 역전의 주기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앞으로 언제 또 다시 지자기 역전이 ... ...
호모
사피엔스 더 오래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대해 논란이 많았다”며 “이번에 측정된 연대는 유전자 비교 연구를 통해 추정한
호모
사피엔스의 출현시점과 일치한다”고 말했다.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화석은 역시 에디오피아의 헤르토에서 발견된 것으로 16만년 전 인류의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2월 17일자에 실렸다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적은 편이다 이것이 인류의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어떤 점에서는
호모
에렉투스를 닮았고 또 어떤 점에서는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하다 흑체의 복사강도 I가 절대온도 T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열복사에 관한 법칙 볼츠만은 열평형에 있을 때 복사 강도 I와 에너지 밀도 w는 w=4πI/c(c는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들 대부분이 오른손으로 내려쳤을 때 떨어져 나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150만년 전
호모
하빌리스가 썼던 이쑤시개의 마모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대부분 오른손으로 이쑤시개를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캐나다의 심리학자인 스탠 코렌과 클레어 포락은 인류가 남긴 벽화와 조각품에 ... ...
1만8000년 전 신종 인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들은 언제 어디에서 온 것일까. 연구자들은 “이들의 조상은 대략 100만년 전에 이주한
호모
에렉투스일 것”이라며 “섬에 고립돼 근친번식을 하면서 몸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때는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자들은 “장거리 주행 능력은 현생 인류가 속하는
호모
(Homo) 속(屬)이 등장한 약 200만년 전에 갖춰진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이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구분되는 면”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이들은 왜 장거리 주자가 됐을까. 리버만 교수는 “우리 조상은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람들의 다양한 얼굴이 모자이크된
호모
사피엔스 인골사진이 걸려있다.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 한 어머니의 후손’ 이라는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인류의 고된 여정을 되돌아보면서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교와 이권을 둘러싼 피비린내나는 동족(
호모
사피엔스)상잔의 비극이 ... ...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있었다면 유전자를 공유할 것이다. 분석결과 네안데르탈인에서는 일치하는 부분이 5명의
호모
사피엔스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현생인류 유전자 구성에 있어 네안데르탈인의 기여도는 없거나 있어도 미미할 것” 이라며 “다만 시료수가 너무 적어 확정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다” 고 ... ...
제주서 5만년 전 사람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인규 서울대 명예교수는 “사람 발자국의 주인공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 라면서 “세계 다른 곳에서 발견된 것보다 시기적으로 후대인데다 모양이 뚜렷해 지질학계에 충격을 던질 만하다” 고 밝혔다.그러나 발자국의 주인공이 실제 한국인의 조상인지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