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상"(으)로 총 1,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고, 파도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다. 제주 용수리 해상면에 설치된 파력발전소는 2016년 준공된 국내 최초의 파력발전소로, 제주 지역 주민들에게 연간 580MWh(메가와트시) 규모의 전력 생산 및 공급을 목표로 운영 중이다. ● 친환경 에너지 도시 환경오염과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길게 두고 바다를 촬영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합성해 바다의 색, 온도 등을 관측한다. 해상도가 천리안 1호보다 4배가량 높아 적조, 냉수대, 어장 환경 등을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환경탑재체는 관측 지역에서 나오는 빛을 1000개 채널로 잘게 쪼개, 각각이 대기와 어떤 물질이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화면이 커지고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소비전력이 커져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 스마트폰 업체들은 배터리 용량을 늘려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갤럭시노트9의 경우 4000mAh(밀리암페어시)의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해 구동 시간을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도는 ‘달’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80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케플러-1652b’를 주목했다. 그리고 케플러우주망원경보다 해상도가 4배 높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40시간 동안 관측했다. 그 결과 이 행성에 위성이 존재한다는 두 가지 단서를 발견했다. 대개 행성이 중심별을 통과할 때에는 별이 어두워진다. 그런데 케플러-1652b가 별을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구 목적으로도 포획을 하지 않고 있지요. 그런데 지난 2014년 5월 17일 전북 군산시 해상에서 어류를 잡기 위해 친 그물에 참고래가 우연히 걸려 잡혔어요. 혼획된 참고래의 몸길이는 14m였어요. 성체로 다 자라면 27m 정도이기 때문에, 아직 한참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기의 참고래였지요.과학자들은 ... ...
- Part 3.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데이터를 보호하고 인공위성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 보호한다. 미국 우주군은 공중, 해상 및 지상 작전에 항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자이언트(GIANT·GPS Interference And Navigation Tool)’다. 적이 GPS 재밍을 시도했을 때 아군에게 얼마나 ... ...
- [과학뉴스] 전자현미경으로 그린 3D 초파리 뇌과학동아 l2018년 09호
- Drosophila melanogaster)의 뇌를 잘게 자른 뒤, 투과전자현미경(TEM)과 고속카메라로 촬영해 고해상도 이미지 2100만 개를 만들고 이들을 엮어 3D 이미지로 변환했다. 3D 이미지에는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뉴런인 ‘MB-CP2(Mushroom Body Calyx Pedunculus #2)’도 표시됐다.연구팀은 이렇게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40여 개에 이른다. 음파를 이용해 바닷속을 살펴보기 위한 여러 종류의 음향측심기, 해상중력계, 초음파 유속계, 음파를 이용한 해저지층탐사기, 과학어군탐지기, 표층 수온 및 염분측정기, 수심수온측정기 등이 설치돼 있다.바닷속 깊은 곳에서 시료를 건져올 수 있는 해저퇴적물시료채취기, 날씨 ...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유발하기 좋다. 운전 시간이 6시간을 넘어서면 졸음운전 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현대해상 보고서에 따르면 명절 연휴 기간 운전 시간이 5시간 이내일 경우 졸음운전을 경험하는 운전자는 20% 수준에 그쳤으나, 6시간이 되면 23%, 7시간이 넘으면 30%, 8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운전자의 41%가 졸음운전을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바다속에서 살던 생물들은 서서히 육지로 그 모습을 드러냈으며, 삶의 터전이 해상에서 육지로 확대됐다.지구의 역사를 바꾼 두 번째 화학반응은 바로 화석연료의 연소다. 화석연료를 발견하기에 앞서 인류는 불을 발견했다. 불을 쓰기 시작한 이래 인류의 역사는 전에 비해 크게 바뀌었다. 그에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