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팀장"(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재활용 쓰레기,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재활용 쓰레기가 그동안 수출이 되고 있었다니…. 정말 놀라운 소식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분리수거한 재활용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되는 걸까요? 수출량 급감, 해결책은?일반적으로 재활용 쓰레기는 여러 과정을 거쳐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해요. 이중 우리나라에서 재활용이 잘되지 않는 ... ...
- 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취재 결과, 이번 재활용 쓰레기 대란은 여러 가지 요인이 합쳐져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과학계에선 이번 쓰레기 사태와 관련해 어떤 대비를 하고 있을까요? 인공지능 재활용 쓰레기통 네프론인공지능으로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는 자판기가 등장했어요. 지난 2015년 국내 벤처 ...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한국형발사체 1단에는 75t급 액체엔진 4기를 하나로 묶은 300t급 액체엔진이 들어간다. 조 팀장은 “현재 한국형발사체의 1단과 3단에 해당하는 체계개발 모델과 인증모델을 제작하고 있다”며 “시험발사체와 마찬가지로 종합연소시험을 거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세계적으로 실용위성을 자력으로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코딩에 도전하자, 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거래 프로그램을 설계하게했다.지난해 NYPC 출제위원장을 맡은 이승재 넥슨 서버엔진팀장은 “코딩에서 재미를 느끼고 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주겠다는 생각으로 문제를 개발했다”며 “문제에는 모범답안이 따로 없고 얼마나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 ...
- [Issue] 파리 vs 런던 집값 더 비싼 곳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책을 통해 경제 지식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이며, 블로그(blog.naver.com/hong8706)를 통해 독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hong8706@naver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무조건 초고층건물인 건 아니다. 김영학 롯데건설 잠실 제2롯데월드 현장 품질기술 팀장은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CTBUH)는 높이가 300m 이상이면서, ‘세장비’가 5 이상이고, 횡력저항시스템을 갖춘 건물을 초고층건물이라 정의했고, 실제로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만들기도 한다. 이 모두가 초고층건물에 부담을 준다. 김 팀장은 “소용돌이로 인해 초고층건물이 진동하면 공진이 일어나 아주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초고층건물은 설계 초기 단계부터 소용돌이를 최소화하거나,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너무나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계획이었다. 그렇다면 지금도 불가능한 계획일까? 김 팀장은 “가장 가까운 미래에 현실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초고층건물은 초고층건물끼리 연결한 십자 모양일 것 같다”고 전망했다. 르 코르뷔지에가 거의 100년 전에 내놓은 계획이 이제 곧 실현될 수도 있다는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놀랍게도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택, 학교, 아파트, 초고층건물 같은 모든 건물은 고유한 주기로 계속 흔들리고 있다. 흔들리는 범위가 아주 크지 않게 만들었기 때문에 느끼지 못할 뿐이다. 이렇게 건물이 흔들리는 건 평소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지진이 일어나면 얘기가 달라진다.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어렵다. 결과는 국유단 중앙 감식소에서 진행될 유전자 검사 이후에야 확인된다. 이 발굴팀장은 “전신이 온전히 발굴되는 유해는 전체의 1%에 불과하다”며 “둥근 모양인 머리뼈의 경우 비탈을 따라 굴러가는 경우가 많고, 설치류가 뼈에 이를 갈면서 사라져 버리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