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식
침범
침략
삭마
마모
소모
erosion
d라이브러리
"
침식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RNA강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어귀에 퇴적물이 쌓여 삼각형 모양을 이룬 지형빙하의
침식
으로 만들어진 골짜기에 빙하가 사라진 뒤 바닷물이 들어와 생긴 좁고 긴 만 가로로 자른 면은 U자 모양을 이룬다하천이 산악지형에서 갑자기 완만한 평지로 흐를 때 산기슭에 자갈과 모래가 부채꼴로 퇴적해 ... ...
07. 2천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2백50만년이라는 지질학적으로 그다지 길지 않은 기간 동안에 독도 화산체의 대부분이
침식
된 점에 비춰볼 때, 독도는 섬으로서 수명이 다해가고 있는 셈이다. 독도보다 약 2백만년 늦게 만들어진 울릉도 역시 독도와 별반 다르지 않은 미래를 맞게될 것으로 보인다.베개용암물속에서 분출해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밝혀냈다.암석은 다양한 종류의 광물로 구성돼 있다. 이 중에는 열이나 화학반응,
침식
같은 악조건에 잘 견디는 광물이 있는데, 지르콘이라는 광물이다. 처음에 같이 만들어졌던 다른 광물이 변성되거나 녹아버려도 지르콘은 꿋꿋이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지르콘은 그가 속해있는 암석의 최초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주변에는 빙하가 발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두산 천지에서 정북 방향으로 U자형 빙하
침식
계곡이 남겨져 있고, 빙하퇴적물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여기서 잠시 다음의 퀴즈를 풀어보자.오늘날과 같은 백두산 천지(天池)를 처음 볼 수 있었던 사람은 다음 중 누구일까?① 단군 할아버지 ② 박혁거세 ③ ... ...
04. 땅속 불구덩이가 화강암 절경 이뤄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10km 내외에서 만들어진 화강암이 노출돼 있다면, 그 상부에 있던 두꺼운 물질들이 모두
침식
돼 사라진 것이다. 따라서 당시의 화산암이나 지표 퇴적층을 찾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쥐라기의 격렬했던 화성활동이 일어난 후, 한반도는 잠시 화성활동의 휴식기에 접어들게 된다. 잠시라고는 하나 ... ...
파도 이기는 프랙탈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파도를 때리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자 곧 표면의 일부가 떨어져나갔다. 초기의 급격한
침식
이 지나자 우리 눈에 익숙한 해안선의 모양이 서서히 드러났다. 이 상태에서는 프로그램이 계속 진행돼도 더이상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사포발 교수는“처음 형태와 상관없이 바위로 이루어진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깊이 너비 길이 등을 적당한 방법으로 수량화하는 것에 따라 표시된다 이것은 그
침식
작용이 이루어진 시대의 신구(新舊)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핵을 다른 세포질로 바꿔치는 일 다른 종 사이의 잡종(A×B)을 어머니 쪽으로 하고, 여기에 한쪽 어버이(B)를 아버지 쪽으로 하여 여교잡(戾交雜,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충돌구덩이의 일부가 광범위하게
침식
을 받아 매끄러운 외모를 보여준다. 칼리스토의
침식
현상은 아직도 수수께끼로 남아있다.목성의 위성 가운데 돋보이는 표면 현상은 바로 이오의 대규모 화산 활동이다. 이오의 화산 활동은 지구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1백배나 규모가 더 크고, 끊임없이 표면을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형이다. 높은 부분이 다 깎여 거의 평지에 가까운 지형인 준평원이 형성되면 더이상
침식
과 퇴적이 일어나지 않는다. 북한에 있는 낙랑준평원이 이런 지형이다.준평원이 융기해 산지를 형성하면 산 정상부는 평탄하다. 이를 고위평탄면 또는 융기준평원이라고 한다. 돌강이 시작되는 비슬산 정상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핀다. 연분홍색 꽃을 피우는 해당화도 마찬가지다. 이런 식물들이 강한 바람에 모래가
침식
되는 것을 막아 사구의 성장을 돕기도 한다.해안사구 식물들은 뿌리가 잘 발달돼 있다. 모래로 구성된 해안사구에서는 비가 와도 곧 물이 빠진다. 사구의 저지대는 지하수면과 가깝지만 30여m 가까이 성장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