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d라이브러리
"
출력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수 있는 장치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다. 2015년 사상 최고
출력
인 13TeV를 기록했다. 원소 탄생의 순간을 엿보는 데는 이보다 낮은 수 MeV(메가전자볼트·1MeV는 100만eV)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라온은 최대 핵자당 200MeV의 에너지를 내도록 설계됐다. 홍 교수는 “유럽의 ... ...
[Tech] 과학으로 달리는 전기자전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회전 속도에 따라 모터의 힘이 결정되는 만큼 오르막길에서 페달 속도가 느려져 모터의
출력
량이 갑자기 증가하면 배터리가 순식간에 방전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모터의 센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오 팀장은 “마치 자동차의 연비처럼 페달을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한블록’이라는 아두이노용 블록도 개발했다. 한캐드로 디자인한 물체를 3D프린터로
출력
하고, 한블록으로 프로그래밍한 알고리즘을 담은 아두이노를 연결하면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 수 있다. 박 이사는 “한캐드가 쉬운 캐드에서 국민 캐드가 되는 게 목표”라며, “기능을 더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개발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보호 상황인 경우에는 핸들의 각도 등이 최종
출력
값이 된다. 이 값에 대한 피드백은 다음 데이터를 학습하는 데 사용된다. 김 교수는 “최대한 다양한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많은 데이터를 모으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는 학습 시 ... ...
[Tech] 그래픽 카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0 NVIDIA GEFORCE GTX 1070’ 제품이 쓰였습니다. PCB 기판 가장자리에는 DVI, HDMI 등 영상신호를 입
출력
하는 포트가 5개나 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HDMI 포트가 2개인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가상현실(VR) 게임용 헤드셋과 컨트롤장치에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특화시켰다고 합니다. 번쩍번쩍 빛을 내는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3D 프린팅 학회를 만들어 세미나를 개최했다. 절단장애인들을 위한 의수를 3D 프린터로
출력
해 만들어 주는 봉사활동도 기획했다. 또 여름방학에는 베트남에 해외 봉사를 다녀왔다. 그는 이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얻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스타트업을 시작할 계획도 있다. 그는 “대학 입학 때 꿈꿨던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역할을 한다. 스몰리 교수는 “빛과 입자를 이용해 공중에서 3D프린터로 원하는 물체를
출력
하는 기술에 비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nature2517 ... ...
[과학뉴스] 고체이면서 액체인 ‘초이온 물 얼음’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처음 확인했다. 연구팀은 대기압의 2만5000배가 넘는 초고압에서 물을 압착시킨 얼음에 고
출력
레이저 펄스를 쪼여 수천 도의 고온에서 초이온 물 얼음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물질의 광학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녹는점과 이온 전도도가 매우 높다는 사실이 ...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전에도 이온의 농도 차이를 이용한 에너지 발생기는 있었지만,
출력
전압이 매우 낮았다. 박정열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최은표 전남대 기계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전기뱀장어의 전기발생세포가 직렬로 연결돼 있어 약 600V까지 전압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모방했다.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모형이 눈에 들어왔다. “스키점프 국가대표 김현기 선수의 활공 자세를 3D 프린터로
출력
한 모형입니다. 실제 김 선수의 4분의 1 정도 크기입니다.” 2009년 개봉한 영화 ‘국가대표’로 유명해진 한국 스키점프 대표팀은 오랜 기간 불모지와 다름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연습해 왔다. 하지만 평창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