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d라이브러리
"
최대한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계’ 한 마디로 40년을 건너다│ 신진 작가 김상현 씨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또한 얻었다. LED 액자나 벽시계 등 오브젝트를 만드는 디자인회사 아니메이드(ANIMADE)의
최대한
대표가 졸업전시를 찾았다가 김 씨의 작품을 보고 협업을 제안한 것이다. 최 대표와 협업을 통해 2019년엔 서울 용산 아이파크몰에 입점하기도 했다. 이어 2020년 일산 킨텍스와 부산 벡스코에 전시를 할 수 ... ...
[SF소설] 마지막 인사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배당됐다. 몇 가지 문서에 동의하고 나자 튜토리얼이 시작되었다. 인공지능을
최대한
인간과 비슷한 모습으로 키워내는 것이 목표임을 설명하는 동시에 인공지능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도구이지 인간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목소리와 외모를 설정하니 화면 속의 아이가 눈을 떴다.귀여웠다.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추측’을 해결해 수학계 샛별로 떠올랐지요. 케플러 추측은 정해진 공간 안에 구를
최대한
많이 쌓는 방법에 관련한 문제입니다. 1620년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3차원에서의 답을 추측하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3차원 문제는 1998년이 되어서야 케플러가 추측한 답이 맞다는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그래픽 예술이 되다! 픽셀 아트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했어요. 그래픽 아티스트는 이런 한계를 이겨내기 위해 작은 화면에 최소한의 색으로
최대한
현실에 가깝게 표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탄생한 방식이 픽셀 아트예요. 현재는 컴퓨터 성능의 발전으로 다양한 그래픽 표현이 가능한데도 ‘젤터’와 ‘바바 이즈 유’ 같은 픽셀 아트를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세제를 넣었더니? 우유 속에 꽃이 피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액체는 액체 분자끼리 서로를 당기는 힘인 응집력을 갖는데, 서로를 당기다 보니 표면이
최대한
작은 구형을 만들게 되는 거예요.세제 속의 ‘계면활성제’ 분자는 우유 속 물 분자와 지방 입자 모두와 친한 성질이 있어요. 그래서 물 분자의 표면장력을 약하게 해 서로 섞이게 만듭니다. 접시 ... ...
[특집] 과학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불안정하고 틈이 많아 빨리 녹는다. 반면 편의점에서 산 얼음은 물의 어는점인 0℃에
최대한
가까운 온도에서 48시간 이상 천천히 얼려 비교적 튼튼하고 강도가 세다 ... ...
우주 유망 직종 TOP4 짚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m 길이 로켓을 수km 높이까지 수직 상승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미 쏘아 올려진 위성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친환경 전략도 있습니다. 한 번 발사하는 데 최대 수천억 원이 드는 위성의 수명을 늘려 비용도 줄이고 우주 쓰레기 발생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미국 방산기업 노스럽 그러먼은 ... ...
[기고] 미래 세대 목소리 담은 ‘행동의 10년’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활용계획을 수립하는 일이다. 6조 체제는 당사국들에게 국내에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최대한
진행하되, 해외에서 감축 사업을 통해 획득한 탄소 크레딧을 국내로 이전해 자국 NDC 이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합의된 지침은 동일한 감축 실적이 여러 국가에서 이중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위성은 고장이 나도 수리할 방법이 없으니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을 써서 위험성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다. 그런데 상황이 변했다. 스마트폰용 배터리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등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저렴하고 대중적인 제품을 위성에 실어 테스트해 보니 큐브샛 등 초소형 위성의 수명 정도는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따뜻한 방 안에서 어른을 위한 눈놀이를 하자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수 있습니다. 100℃의 물에 염화암모늄을 74.1g 녹입니다. 이후 온도를 0℃까지 낮추면
최대한
녹을 수 있는 양이 29.4g로 줄어들면서 나머지 44.7g은 다시 고체 상태로 분리됩니다. 이를 석출이라고 부르죠.설명이 복잡했습니다만, 사실 이번 실험의 매력은 쉽다는 겁니다. 우선 뜨거운 물을 준비합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