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우리도 빅데이터 생산자!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개인정보를 분석하여 인류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이야기가 나와요. 실제로
중국
에서는 안면인식 카메라를 인공지능 기술과 연결하여 범법자를 찾아내는 데에 사용하고 있어요. 지난해엔 20년간 도피한 연쇄살인범이 인공지능 기술로 붙잡히는 일도 있었죠. 이렇게 긍정적으로 기술이 ... ...
[특집] 비눗방울 어디에나 있다!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입체 구조를 만든 거예요. 이 구조는 다양한 건축물과 미술 작품에 활용되고 있어요.
중국
베이징에 있는 국립수영장 ‘워터큐브’가 웨이어-펠란 구조를 활용해 만든 대표 건축물이에요. 둥글게 휘어진 철사를 비눗물에 담갔다 꺼내면 어떻게 될까요? 둥근 철사를 따라 투명한 ‘비누막’이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트위터 등의 서비스 접근을 차단했다. 자유로운 접속은 물론 의견 표출도 거의 불가능한
중국
의 인터넷에 대해 최 위원은 “인터넷이 취할 수 있는 최악의 모습”이라 평했다.인터넷은 [ 모두]의 것이다? 인터넷은 정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거대 IT기업, 혹은 국가의 것일까? 그렇다면 우리가 익히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사실을 잘 보여줍니다. 진화의 위대한 점은 바로 이 점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최승.
중국
과학원 척추동물 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화석알과 현생알의 다양성과 진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seung0521@gmail ... ...
[특집] 익룡에게서 깃털이 발견되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부르는데, 이것이 새의 깃털과 같은 종류인지는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2018년,
중국
연구팀이 익룡의 피크노파이버가 원시적인 깃털이라 주장하면서 깃털 논쟁이 시작되었지요.오드 신코타 연구팀은 투판닥틸루스의 머리뼈 화석에서 새의 깃털과 비슷한 구조를 발견했습니다. 지금까지 새와 ... ...
한국 과학 날아오른 2022년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
[기획] 수학자 장이탕 다큐멘터리에서 인생 문제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학생이 정수론 난제를 풀게 된 계기는
중국
계 미국 수학자 장이탕의 인생 역전 스토리가 담긴 다큐멘터리를 본 것인데요. 여기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을까요? 2017년 중학교 2학년이었던 라슨 학생은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의 강연장에서 장이탕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수학과 교수의 ... ...
[가상 인터뷰] 수컷 거미는 짝짓기하고 나서 도망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나와 도망쳐요. 빨리 도망가지 않으면 암컷 거미한테 잡아먹힐 수 있거든요. 4월 25일
중국
후베이대학교 생물촉매및효소공학주립핵심연구소 장시창 교수팀이 이 모습을 처음 발견했습니다. 그걸 어떻게 발견했어요?교수팀은 155쌍의 왕관응달거미가 짝짓기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1초에 150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항성의 핵 반응속도를 연구하는 진핑핵천체물리학실험(JUNA)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중국
과학원은 2020년 12월 보도자료를 통해 “CJPL에 설치한 400kV 가속기로 첫 빔을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항성 내부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재현해 원소의 기원을 연구할 예정이다. 노벨상을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전달하고, 해킹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다. 2021년 차일링거 교수의 제자인 판젠웨이
중국
과학기술대 교수팀은 통신선과 위성을 이용해 4600km, 최장거리 양자 통신에 성공했다.양자컴퓨터 기술도 한창 연구 중이다. 양자컴퓨터는 양자중첩과 간섭, 얽힘 현상을 이용해 복잡한 계산을 빠르게 할 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