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나무 냉각제로 건물을 시원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월 5일 중국 난징임업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유 후 교수팀이 나무를 이용해 물체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제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나무의 섬유를 황산으로 분해하여, 머리카락보다 만 배 넘게 얇은 나노셀룰로오스를 만들었어요. 여기에 규소 화합물을 넣고 얼렸다가 건조하자, ... ...
- [가상 인터뷰] “저 좀 태워 주세요.” 아무 데나 붙어서 이동 가능한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다른 비행 물체에 붙을 수 있고, 물속에서는 잠수함 등에 붙어다닐 수 있어요. 5월 18일 중국 베이항대학교 기계공학과 리 웬 연구팀은 돌고래 같은 어류에 붙어다니는 빨판상어를 보고 영감을 받아 물속에서뿐만 아니라, 공중에서도 다른 물체에 붙어다닐 수 있는 드론을 만들었어요. 어떻게 다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우리도 빅데이터 생산자!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개인정보를 분석하여 인류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이야기가 나와요. 실제로 중국에서는 안면인식 카메라를 인공지능 기술과 연결하여 범법자를 찾아내는 데에 사용하고 있어요. 지난해엔 20년간 도피한 연쇄살인범이 인공지능 기술로 붙잡히는 일도 있었죠. 이렇게 긍정적으로 기술이 ... ...
- [기획] 수학자 장이탕 다큐멘터리에서 인생 문제를 만나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학생이 정수론 난제를 풀게 된 계기는 중국계 미국 수학자 장이탕의 인생 역전 스토리가 담긴 다큐멘터리를 본 것인데요. 여기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을까요? 2017년 중학교 2학년이었던 라슨 학생은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의 강연장에서 장이탕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수학과 교수의 ... ...
- [특집] 비눗방울 어디에나 있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입체 구조를 만든 거예요. 이 구조는 다양한 건축물과 미술 작품에 활용되고 있어요. 중국 베이징에 있는 국립수영장 ‘워터큐브’가 웨이어-펠란 구조를 활용해 만든 대표 건축물이에요. 둥글게 휘어진 철사를 비눗물에 담갔다 꺼내면 어떻게 될까요? 둥근 철사를 따라 투명한 ‘비누막’이 ...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트위터 등의 서비스 접근을 차단했다. 자유로운 접속은 물론 의견 표출도 거의 불가능한 중국의 인터넷에 대해 최 위원은 “인터넷이 취할 수 있는 최악의 모습”이라 평했다.인터넷은 [ 모두]의 것이다? 인터넷은 정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거대 IT기업, 혹은 국가의 것일까? 그렇다면 우리가 익히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만들어서 서로 충돌시켜야 한다. 일본의 국제선형가속기 (ILC,International Linear Collider), 중국의 원형전자반전자충돌기 (CEP, Circular Electron Positron Collider), 유럽의 미래원형충돌장치 (FCC, Future Circular Collider) 등의 미래형 입자가속기를 건설하려는 첫번 ...
- [가상 인터뷰] 수컷 거미는 짝짓기하고 나서 도망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나와 도망쳐요. 빨리 도망가지 않으면 암컷 거미한테 잡아먹힐 수 있거든요. 4월 25일 중국 후베이대학교 생물촉매및효소공학주립핵심연구소 장시창 교수팀이 이 모습을 처음 발견했습니다. 그걸 어떻게 발견했어요?교수팀은 155쌍의 왕관응달거미가 짝짓기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1초에 150 ...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현상인 ‘자유 진동’이 곳곳에서 관측될 정도였죠.최초의 지진 감지계는 132년, 중국 천문학자 장흥의 손에서 처음 만들어졌는데, 어떻게 연구팀은 수천년 전 규모 9.5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을까요? 연구팀은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사막에서 발견된 해저퇴적물과 뉴질랜드에서 ...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가옥 문의 뼈대가 되는 살끼리 만나는 교차점의 개수로 곱셈을 하는 방법으로, 그 유래는 중국과 인도로 추정된다. 문살 곱셈은 곱하고자 하는 수의 숫자만큼 문살(뼈대)을 놓고 각각의 자릿값에 교차하는 점의 개수를 세어 답을 구한다. 이러한 점 덕분에 구구단을 알지 못하는 사람도 곱셈 문제를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